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박 박사의 학부 전공은 물리학이었지만, 대학원에서 미세유체를 다루는 의공학으로 방향을 틀었다. 스탠퍼드대 의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혈액 진단 기술을 연구하던 그에게 스마트 변기란 아이디어가 찾아온 것은 2018년, 스승 고(故) 샌지브 갬비어 스탠퍼드대 의대 영상의학과장 덕분이었다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반대로 만나게 됩니다. ‘이건 정삼각형 아닌가?’ 생각할 수 있지만 ‘밴드의 양끝의 방향이 다르게 만난다’라는 조건을 만족했으니 뫼비우스 띠가 맞습니다. 정삼각형 모양의 뫼비우스 띠죠.슈바르츠 교수는 뫼비우스 띠에는 반드시 ‘티 패턴’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티 패턴을 이해하기 ... ...
- [이참결 독자가 쏘아올린 기사] 우주 팽창의 중심은 왜 존재하지 않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풍선 표면에서 팽창의 중심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처럼 우주는 특별한 중심 없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팽창하고 있다. 그 결과 외부 은하가 우리에게서 멀어지므로 적색 편이가 나타난다.” 우주는 풍선과 다릅니다! 그러게요, 우리는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조사를 시작합니다. 물론 처음엔 방향이 막연하지만 조사 결과에 따라 진행 여부 및 방향을 결정하며 연구 범위를 구체적으로 좁혀갑니다. 자기 주도적인 연구 활동 경험이 적은, 우리 1학년 학생들에겐 이 단계가 가장 중요합니다. 6월이 되면 연구 주제를 선택해 본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죠.특히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구역의 낚시왕! 비결은 ‘편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편광 필름이 쓰여요. 한쪽 렌즈에는 수평 방향의 편광 필터, 다른 한쪽 렌즈에는 수직 방향의 편광 필터가 장착돼 있죠. 서로 각도가 다른 영상을 받아들인 우리 뇌는 이를 하나의 영상으로 인식해 생생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거랍니다. 편광 현상은 우주를 관측할 때도 쓰입니다. 지난해 8월, ... ...
- 슬기로운 수학생활 멘토링수학동아 l2023년 10호
- 개념서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아 틀리기 쉬운데, 전 회원도 여기서 조금 헷갈렸지만 방향을 잘 찾아갔다”면서, “서 회원의 말처럼 앞으로 개념서의 내용보다 세밀한 부분을 생각하면 큰 도움이 될 것이고, 지금도 충분히 잘 공부하고 있다”고 다독였어요. 멘토링에 참여한 회원들의 소감은 ... ...
- [특집] 2030년에 10만 개 쏟아진다? 배터리 재활용 풀어야 할 숙제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같은 질문에 90년대부터 이차전지를 연구한 1세대 연구자이자 국가 단위 배터리 정책과 방향을 잡아 온 박철완 서정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 역시 “차세대 이차전지 연구가 이뤄지고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이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결국 자원의 편재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자원의 편재. ... ...
-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향했다.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를 만나기 위해서였다. 레이저는 쉽게 말해 한 방향으로 직진하는 세기가 증폭된 강한 빛이다. 레이저과학 연구단은 그런 강한 빛 중에서도 가장 강한 빛을 만들어 내고 있다. 2016년, 연구단이 설립된 지 4년 만에 4페타와트(PW1PW는 1000조 W) 출력 레이저를 개발하면서 ... ...
- [빅잼] 이그노벨상을 타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물 분자가 가진 반자성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반자성은 물체가 외부 자기장과 반대 방향으로 자성을 띠는 성질이다. 물은 미약한 반자성을 띤다. 그런데 전자석의 강한 자기장 속에서 물의 반자성이 나타났고, 이 힘이 중력을 이겨내면서 공중에 떠오른 것이다. 이 결과에 가임 교수는 물론 주변 ... ...
-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수 있었다. 자연스럽게 페르미 버블과 이로시타 버블 모두가 우리은하 원반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자랐을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350만 년 전에 우리은하 중심부에서 진화를 마친 별들은 연달아 초신성 폭발을 일으켰다. 이 당시 지구에선 우리의 먼 조상들이 땅 위를 거닐고 있었다. 그때의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