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병"(으)로 총 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식중독 원인균, 여섯 시간 안에 진단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여름 발병하는 집단 식중독 원인균을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키트가 개발됐다. 질병관리본부는 학교나 군부대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집단 식중독의 원인균을 수 시간 내로 진단할 수 있는 다중유전자증폭(multiplex PCR) 키트를 개발했다고 3월 7일 밝혔다.이번에 개발된 키트는 식중독 원인균인 ...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 결과 하루에 세 잔 이상 커피를 마실 경우에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2형 당뇨가 발병할 확률이 21%, 여섯 잔 이상 마시면 33%가 낮아졌다. 카페인이 없는 디카페인 커피와 보통 커피 모두 당뇨에 효과가 있었다. 커피가 당뇨를 예방하는 메커니즘도 추측할 수 있다. 커피에 풍부한 마그네슘, 리그난, ... ...
- [가상인터뷰]박쥐 VS 에볼라, 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걸리지 않는 박쥐가 있다면서?박쥐 : 에볼라 바이러스는 40년 전 아프리카에서 처음 발병이 확인 됐어요. 이후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아프리카 전역에 확산되며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해 전세계를 공포에 빠트렸어요. 흔히 박쥐가 에볼라 바이러스의 숙주로 지목되는데, 아직까지 어떤 동물을 통해 ...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사람의 살이 썩어 검게 되는 흑사병이 유행했는데, 이 병을 일으킨 페스트균은 중국에서 발병한 뒤 유럽까지 오는 데 3년이 넘게 걸렸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사스 바이러스는 일주일이 채 되지 않아 전세계 30개 국으로 퍼져나갔답니다.교통의 발달은 지나간 전염병이 다시 나타나는 ‘재유행’의 ... ...
- 고리포터가 밝히는 햄 기사의 진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가공육을 많이 먹는 연령층인 청소년을 포함해 국민을 대상으로 가공육 섭취와 암 발병의 관계를 연구할계획입니다. 가공육을 건강하게 먹을 수 있게 돼 건강도, 입맛도 포기하지 않게 되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수학동아, 고리포터였습니다 ... ...
- “술˙담배 잦은 한국인, 햄˙소시지 발암위험 더 높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하루 평균 흡연량은 25개비로, 세계 평균인 17.7개비보다 1.4배 많다.우리나라 대장암 발병률은 인구 10만 명 당 45명(남성 58.7명, 여성 33.3명)으로, 이미 세계 1위다. 임 교수는 “다른 발암요인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일수록, 상대적으로 더 조심할 필요가 있다”면서 “결국 가공육 섭취를 줄이는 게 ... ...
-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방법이 나을 것 같다.Q 고추를 즐겨 먹는 나라와 그렇지 않은 나라에서 파킨슨병 발병률에 차이가 있나구체적으로 연구된 자료는 없다. 인구 규모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고추를 즐겨 먹는 우리나라나 멕시코, 터키 등의 나라가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파킨슨병 환자가 적다.Q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겪은 파리 테러 피해자들은 PTSD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테러 생존자들의 PTSD 발병을 막고, 만성질환으로 이어지지 않게 할 방법은 없을까.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한 대처다. 미국 에모리대 정신및행동과학과 더글라스 브렘너 교수에 따르면, PTSD를 유발할 수 있는 충격적인 상황에서 얼마나 ... ...
- 식품 알레르기, 피하지 말고 먹어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땅콩을 유아기 때 일찍 먹은 사람은 먹지 않은 사람보다 성인이 됐을 때 땅콩 알레르기가 발병할 확률이 20% 낮았다.아브람스 교수는 “아기가 생후 4~6개월일 때 알레르기를 유발할 위험이 있는 음식에 노출시키면 그 음식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된다”며 “처음에는 3~5일 간격으로 곡물이나 채소와 ...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교수)예요.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 중 하나인 ‘DNA 불일치 복구’가 대장암의 발병 원인이라는 것을 처음 밝힌 분이죠. 연구를 할 때 가설을 세우고, 실험의 방향을 설정하는 부분에 대해 많은 조언을 해 주셨어요. 후배 연구자들을 보면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는데도 가설과 연구 방향 설정을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