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갈릴레이입니다.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이용해 목성 주변을 도는 위성 4개를 최초로
발견
하고, 그 위성의 이름을 자신을 후원하던 메디치 가문의 이름을 따 ‘메디치의 별’로 지었습니다. 자신의 연구를 집대성한 책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는 코시모 2세 데 메디치에게 바치죠. 그 결과 그는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연구의 시작부터 연구를 증명하는 마지막 과정까지 왜몬과 싸우다보면 새로운 지식을
발견
하거나, 기존 지식을 정정하는 등의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그리고 공부하며 차근차근 쌓아 둔 지식이 왜몬과의 싸움에서 길라잡이가 돼준다. 그것이 연구다. “웹툰 보고 대학원에 가기로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고리들이 존재하는 경우들. 거리의 멀고 가까움에 상관없이 서로 통하는 그 무언가를
발견
하는 경우 말이다.이런 연결이 아원자의 세계에도 존재한다. 고로 한쪽 입자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면 즉각적으로 10억 광년 바깥에 있는 다른 입자에서도 그 변화가 나타난다. 이들 사이의 공간은 아무런 ... ...
행복과 경제가 보인다! 냠냠 지수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현 바이브컴퍼니)는 SNS에 치킨이 언급될 때마다 연관어로 행복이 따라온다는 점을
발견
했다. 다음소프트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6년 초까지 SNS 언급량을 보면 치킨(1370만 4924회)은 피자(793만 2356회)나 삼겹살(171만 9997회)보다 훨씬 많았다. 같은 기간 ‘행복하다’, ‘기쁘다’ 등 행복 ... ...
멋진 증명을 가리키는 말, 신의 증명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토마센이 해당 분야 수학자들이 신의 증명이라 여길 만한 독창적이고 간결한 증명을
발견
했답니다. 여러분도 수학 증명을 공부하면서 그 문제에 대한 신의 증명이 있으면 어떤 것일까 생각해보면 수학이 더 재미있어지지 않을까요? 자신이 주도해 생각하면 더 재미있답니다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어떤 생물을 탐사했을까? 2023 시민과학 페스티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지사탐 활동을 통해 다양한 생물들이 환경에 적응하고, 환경을 극복해 살아가는 모습을
발견
했다”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특히 “일본 야쿠시마에서 봤던 일본원숭이가 비가 많이 오는 환경에서 어떻게 적응해 살아가는지 12기 지사탐 대원들과 함께 연구해보고 싶다”고 말했지요 ... ...
[과학뉴스] 지하 1.5km 아래에도 다채로운 미생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특히,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종도
발견
됐어요. 오스번 교수는 이번에
발견
된 미생물들이 “기존 탐사나 실험에서는 연구할 수 없었던 미생물”이라며 “이 생명체 중 일부는 지금 당장 화성 지하나 얼음 같은 위성의 바다에서도 살 수 있다”고 강조했답니다 ... ...
[가상 인터뷰] 뇌 없는 세균도 경험을 기억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있는 대장균은 흩어졌다가 다시 군집을 만들 때 더 효율적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
했지. 연구팀은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지 분석해 2023년 11월 21일에 발표했단다. 군집을 만들었던 경험을 기억한 거야? 대장균은 세포 1개로 이뤄진 생물인 만큼 신경계나 뇌세포가 없어. 사람처럼 기억하지는 ... ...
[출동! 어린이 기자단] '신비아파트 제작 스튜디오에 가다' 신비한 애니메이션 속 수학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1호
귀신을 소환할 수 있는 ‘고스트볼’이 항상 나오는데, 고스트볼 모양에서 도형을
발견
했어요! 또 다른 수학도 숨어있나요?”기자단의 질문에 이종혁 PD는 신비아파트 곳곳에 숨은 수학을 알려줬어요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데 처음으로 성공했습니다. 1939년 스위스의 화학자 파울 헤르만 뮐러가 DDT의 살충력을
발견
한 덕분이었습니다. DDT는 곤충 뉴런의 나트륨 이온 채널을 엽니다. 나트륨 채널은 세포막에 존재하면서 신경세포에 전달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열리고 닫히며 나트륨 이온을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입니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