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으)로 총 1,8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우리가 제일 좋아하는 사료도 함께 올려줬어요. 우리에게 고마워하면서도 미안해하는 마음이 그대로 전달됐습니다. 여러분, 이 정도 설명이면 우리가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라는 건 충분히 알겠죠? 2020년은 우리의 해라고 하니 제가 더 열심히 발로 뛰며 우리와 인간의 화합을 위해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GMO는 규제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정부에 권고했다. 미국 농무부도 유전자 가위 같은 새로운 육종 기술은 전향적으로 검토하는 분위기다. 박 교수는 “최근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GMO가 등장하고 있다”며 “변화하는 연구 환경에 맞춰 GMO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고객의 목소리만 깨끗하게 들을 수 있다. 실제 미국과 멕시코 국경지대에서는 미 정부가 국경검문소에서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노이즈 캔슬링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가령 엔진 소음이 심한 트럭에 탄 사람과 검문소 직원이 대화를 하는 경우 트럭의 소음을 측정해 이를 상쇄시키는 파동을 ... ...
- [독일유학일기] 아헨공대 자퇴하고 카를스루에공대로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교육 시스템이 다른데, NRW는 주 교육청에서 김나지움(Gymnasium)을 목표로 하는 만 18세 미만 이민자를 지원해줬다. 김나지움은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가는 중등교육 기관이다. 독일은 한국과 달리 초등학교 졸업 후 하우프트슐레(Hauptschule), 레알슐레(Realschule) 또는 김나지움 중 하나를 선택해 ... ...
- [과학뉴스] 오존 구멍 34년 만에 최소!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10월 21일, 남극 성층권에 있는 오존층 구멍이 34년 만에 가장 작아졌다고 발표했어요. 오존층은 지구 표면에서 약 15~35km 높이에 오존이 쌓여 있는 층이에요. 지구 대기의 오존 중 약 90%가 이곳에 몰려 있으면서, 지구 생물에게 해로운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방패막 역할을 ... ...
- [현장취재] 스파이더맨들 모여라! 거미 특별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여덟 개의 다리, 강력한 위턱과 날카로운 송곳니, 그물을 치고 먹이를 기다리는 사냥꾼, 거미! 무서워하는 친구들도 있지만, 거미는 사실 해충을 잡아 ... 운길유령거미 등 20종에 달하는 거미를 만났어요. 박물관으로 돌아와 채집한 거미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며 뜨거웠던 탐사를 마쳤답니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친구에게 생일 축하 노래를♬ 기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음을 차례로 쌓는데, 예를 들어 C 코드는 ‘도’를 기본음으로 하여 각각 3도 위의 음인 ‘미’와 ‘솔’ 음을 함께 누르면 만들어져요. 비슷하게 ‘파’, ‘라’, ‘도’를 동시에 누르면 F 코드를, ‘솔’, ‘시’, ‘레’, ‘파’를 누르면 G7 코드를 연주할 수 있지요.우리는 토이콘 창고에서 도부터 ... ...
- 기생충으로 역사 탐험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재미있는 얘기가 있나요?16세기의 5살짜리 어린이 미라를 조사한 적이 있어요. 그런데 이 미라에서도 간디스토마가 발견되었답니다. 간디스토마는 민물고기의 회를 먹어야 감염이 되는 기생충이죠. 즉, 우리나라는 16세기부터 어른이나 아이 모두가 회를 즐겨 먹었을 정도로 회가 유행이었던 거예요. ... ...
-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색소가 상당량 들어있어 피가 녹색으로 보인다. 문어나 오징어 같은 연체동물과 거미, 투구게 같은 일부 절지동물의 혈구에는 헤모글로빈 대신 헤모시아닌(hemocyanin)이 있다. 헤모글로빈에 철이 들어있다면, 헤모시아닌에는 구리가 들어있다. 구리에 산소가 결합해 산화구리가 되면 파란색을 띠고, ...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수 있는 거리) 떨어진 우주 공간에서 태양보다 65억 배 무거운 블랙홀을 마침내 관측했다. 미 경제전문지 포브스의 지난해 예상이 그대로 맞아 떨어졌다.중력파 예상도 적중했다. 2016년 첫 중력파 검출에 성공하며 노벨물리학상을 거머쥔 레이저간섭계중력파관측소(LIGO·라이고)는 장비를 대거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