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해
외양
d라이브러리
"
먼 바다
"(으)로 총 60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션 1.
먼
바다
의 쓰레기를 치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대마도 지역에서 실험을 거친 뒤, 2020년부터 전
바다
의 쓰레기를 청소하는 ‘쓰레기 청소 대작전’에 ... 보시려면?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미션 1.
먼
바다
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 ... ...
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들어간다.➍ 바닷물은 펌프를 통과한 뒤 다시
바다
로 돌아간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미션 1.
먼
바다
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그동안 불가사의한 일로 손꼽혔다. 육지가
바다
가 된 것도 신기하거니와, 해빙으로 뒤덮여 그 ... 밝혀지고 있다. 그에 따르면 북극에서 처음
바다
가 탄생한 순간은 중생대 중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 불렀다. 북극까지 이어져 있던 로라시아 대륙은
먼
훗날 북아메리카가 될 로렌시아(Laurentia) 대륙과 ... ...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쌓이게 되거든요.미세플라스틱으로 배를 채운
바다
동물들은 더 이상 배고픔을 느끼지 못해 굶어 ... 보시려면?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미션 1.
먼
바다
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 ... ...
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빨리 뗄 수 있도록 친구들도
바다
를 사랑하는 데 앞장서 줘!▼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미션 1.
먼
바다
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이번에는 방향을 틀어부산으로 향했다. 부산 앞
바다
에서는
먼바다
를 반시계방향으로 빙 돌아 포항을 거쳐 다시 서울과 오산공군기지로 돌아왔다. 이 항로를 4번 반복하며 꼬박 8시간을 비행했다.이번 공동 조사의 총괄책임자인 NASA 랭글리연구센터의 제임스 크로퍼드 수석연구원은 “오늘 항로는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험의 정체를 밝힐 실마리는 2000년대 초반,
바다
에서 발견됐다.
먼
바다
에서 출렁이는 파도(Infragravity wave, 장주기중력파)의 진동 특성이 험과 비슷하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프랑스 국립해양개발연구소의 파브리스 아드휴인 박사는 e메일 인터뷰에서 “장주기중력파는 파고가 수 cm에 불과하고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마을인 안덕면 대평리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바다
올레길입니다. 여미지 식물원과 테디베어 ... 파도 소리에 답답한 가슴이 탁 트입니다.
바다
쪽으로 가까이 가면 검붉은 육각형의 돌기둥이 ... 실험이 어렵다면 원 모양 상자에 구슬을
먼
저 넣고 바닥을 평평하게 만든 다음, 구슬을 빼 육각형 상자에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보완한 새로운 우주선을 만들고 있어요.재활용 로켓 타고 우주여행 간다!
먼
거리를 가야 하는 우주선은 지구에서 이륙할 때 발사체에 실려서 올라가. ... 올라가는 용도로 개발됐어요. 우주선을 목표한 높이까지 띄운 뒤에는
바다
에 떨어져 쓰레기가 되고 말지요.이렇게 한 번 쓰고 버리는 발사체를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오늘날 대머리독수리처럼 긴 날개를 이용해
먼
거리를 날아다니며 먹이를 찾아야 한다.하지만 케찰코아틀루스는 몸에 비해 날개가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먼
거리를 날아다니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다.1981년 ... 레프 네소프 박사는 케찰코아틀루스가
바다
나 호수 위를 날아다니며 긴 목을 이용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