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물기관"(으)로 총 1,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미국의 대표적인 대체육류 생산업체인 비욘드미트(Beyond Meat)는 2009년 설립 당시 세계 최고 부자였던 빌 게이츠와 리어나도 디캐프리오 등 유명 할리우드 배우들이 투자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채식 열풍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도 이때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요. 최근 비욘드미트는 2020년까지 아시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한 발명품이 있었다. 이 발명품을 이용하면 매일 비타민A 결핍으로 사망하는 어린이 수백 명의 목숨을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발명품은 개발된 지 20년이 지나도록 한 번도 쓰이지 못했다. ‘비운의 주인공’은 황금쌀(Golden Rice). 그런 황금쌀이 드디어 식탁 위에 오를 가능성이 생겼다. ‘20년 만 ... ...
- 수리류를 추적하고 지키는 시민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우와~. 추적 장치로 이동경로를 밝혀서 우리를 보호하려고 하는 거구나. 연구자 뿐만 아니라 우리를 위해 활동하는 시민들도 있다는데, 궁금해! 소개해 줘! 시민들과 함께 흰머리수리의 개체수를 밝힌다!흰머리수리는 20세기 들어 살충제(DDT)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했지만, 보존 활동으로 지금은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확실한 연도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스타워즈에 관한 내 첫 번째 기억은 조그만 브라운관 TV에서 펼쳐지는 광선검 대결이었다. 아마도 에피소드 4인 ‘새로운 희망’의 TV 방영 버전이었을 것이다. 그 모습은 너무나 환상적으로 보여서 머리에 깊숙이 각인이 되고 말았다. 두 번째 기억은 극장에서 ... ...
- [Go! Go! 고고학자] 닭을 처음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얼마 전에도 양념 통닭을 먹었다고요? 혹시 손가락을 빨다가, 이 맛있는 치킨을 제일 처음 먹은 사람은 누구인지 궁금한 적은 없었나요? 우리는 언제부터 닭을 키우기 시작했을까요? 고고학과는 관련이 없을 것 같지만, 이 일도 고고학자의 연구 주제 중 하나랍니다. 인도의 먼지투성이 유적에서 ... ...
-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가을이 완연한 10월 26일, 인천 앞바다의 작은 섬 신도에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모였어요. 선충 특별탐사에 참여하기 위해서지요. 탐사대원들은 이곳에서 선충을 찾기 위해 모였지요. 곤충도, 거미도 아닌 선충이 생소하다고요? 그러면 지금부터 서울대학교의 김준 연구원과 함께 선충을 찾으러 ... ...
- 지구 전체의 재앙이 된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이렇게 몇 달씩이나 초대형 산불이 이어지면 그 피해는 얼마나 클까요? 열대우림에서 사는 동물들은 뜨거운 열기로 죽고, 연기는 옆 나라까지 퍼져 사람들도 피해를 입는답니다. 지구 전체엔 기후변화를 가져오기도 하고요. 최근 야생 고양이과 동물 보호단체인 ‘판테라’는 아마존에 사는 최소 5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식물도 움직일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여러분은 물을 마시고 싶을 때, 어떻게 하나요? 아마 자리에서 일어나 물이 있는 곳까지 걸어갈 거예요. 하지만 식물은 사람과 같은 동물처럼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해요. 뿌리가 한 곳에 고정되어 있어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지요. 그렇다고 식물이 아예 움직이지 않는 건 아니에요. ...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산소는 특히 동물에게 중요하다. 동물은 진화를 통해 조직과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발달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심혈관계다. 심장을 엔진 삼아 혈액은 평생 온몸을 일정한 방향으로 순환하며 폐에서 얻은 산소를 온몸의 조직과 세포에 전달한다. 심혈관계를 통한 산 ...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 7만 종 척추동물의 ‘유전자 설계도’를 만드는 ‘척추동물유전체프로젝트 (VGP)’가 최근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지금까지 진행된 다른 유전체 프로젝트에 비해 설계도의 정확도가 월등히 높다. ‘10마리에서 4마리로’. 지난 40년간 전 세계 척추동물 개체수는 60%나 감소했다. 반백년도 안 되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