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양성"(으)로 총 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생물 주권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어흥~, 과일 하나 먹으면 안 잡아먹지! 호랑이 농부가 만든 다양한 과일들을 맛보렴. 딸기가 왜 태극기를 들고 있냐고? 우리나라 과일이 생물주권을 지키기 위해 독립운동을 하고 있어. 생물주권을 지키는 길, 함께 따라오라흥!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생물주권을 지켜라!Part1. 딸 ... ...
- [특집]딸기 독립 만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먹어도 먹어도 또 먹고 싶은 매력쟁이 과일 딸기. 딸기야, 너는 어디서 왔니? 다들 최근 우리나라에서 태어났다고?! 언제부터 맛있어진 거야! 우리나라만의 아주 특별한 딸기!새콤달콤한 과육이 입안을 가득 채우는 빨간 딸기는 품종에 따라 맛, 크기, 색상, 모양이 저마다 달라요. 2005년까지만 ... ...
- [기획] 사투리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이어 “표준어가 맞고 사투리는 틀리다는 인식 때문에 사투리가 사라지고 있다”며 “다양성을 인정해 풍부한 언어가 사용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답니다. 인터뷰 ➊ "아이고~, 빙떡 먹으러 옵서" 제주어지킴이 ‘뚜럼브라더스 (제주도 조천 초등학교 교래분교 박순동 선생님)’ Q제주 ...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제대로 영양을 공급받지 못한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장내 미생물의 종 다양성이 떨이지고, 이는 근육과 뼈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 워싱턴대 의대, 방글라데시 다카 국제 설사성 질환 연구센터(icddr,b)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2016년 심각한 영양실조를 겪은 24개월 미만 ...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21세기 우리가 이제 주목해야 할 것은 호모 속이 보여주는 두뇌 용량의 증가가 아니라 다양성의 증가다. 우리에게 앞으로 필요한 것은 새로운 발견보다도, 새로운 발견이 만들어가는 새로운 그림을 바라보는 프레임의 전환일지도 모른다. ※이상희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인류학과 ...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생태계를 형성하는 경향도 확인됐다. 사연도 각양각색 국내 침입종외래종 가운데 생물 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종인 침입종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1년 현재 34종의 생태계교란 생물 가운데 33종이 외래종이다. 이 가운데 곤충과 식물 종은 대부분 우연히 들어온 ...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역사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다. ※정충원 유전체를 바탕으로 고대 인류의 이동과 다양성 등을 연구하고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과학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과 그룹리더를 지냈고, 현재는 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cwjeong@snu.ac ...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위험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그래서 최근 식물학자들이 식물 다양성에 대해 더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지요. “기술이 발달하면서 식물을 세포나 DNA 등 분자 수준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었고, 식물 분류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더 다양한 종으로 나뉘거나, 분류군이 ... ...
- [시사과학] 동물 학대 논란, 수족관 고래 타기 체험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해양수산부 송명달 해양환경정책관은 “수족관 전시생물의 복지 개선과 수족관의 생물다양성 보전 기능 확대를 위한 첫발을 뗐다”며 “모두가 행복한 수족관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어요. 고래가 있을 곳은 바다! 이번에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수족관 관리 종합계획에 대해 핫핑크돌핀스 ... ...
- [에디터 노트] 식물과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목소리를 담았습니다. 인공지능(AI)을 연구한 영화감독 장지윤 씨는 영화 속 젠더 다양성의 중요성을 역설합니다. 강신욱 연출가는 예술과 기술의 긴밀함이 새로운 예술 탄생을 이끌 것이라고 말합니다. 가수 박새별 씨는 음악을 분석해 소통의 본질에 다가선 경험을 나눕니다.20일은 장애인의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