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착관념
고정악상
강박
d라이브러리
"
고정관념
"(으)로 총 23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엄마, 누나, 언니도 발명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닫 아야 한다는
고정관념
을 깨고 발로 수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에요. 친구들도
고정관념
을 깨고 주변을 바라보면 기발한 발명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답니다.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매직테이프 봉투발명가 안명선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여러 가지 봉투에 매직테이프를 더해 만든 발명품입니다. ... ...
1. 백조가 더 이상 여자일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무용수가 연기하는 ‘힘이 넘치는’ 백조에 열광한다. 고전발레의 ‘백조=여자’라는
고정관념
을 과감히 깨고 남자 백조를 선보인 영국 안무가 매튜 본의 댄스뮤지컬 ‘백조의 호수’는 최근 한 기업의 TV 광고에도 사용돼 좋은 반응을 얻었다.춤도 변한다. 춤은 그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준비돼 있는 셈이다. 실제로 뇌는 얼굴 뿐 아니라 말투, 행동까지도 유형별로 묶는다.
고정관념
이나 편견이 생기는 것도 이런 이유다.실제로 뇌가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은 좀 더 복잡하다. 지난해 말 영국 런던대 피아 로트시타인 박사팀은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와 미국 배우 메릴린 먼로를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의 광고 내용이다. 인기 비결은 확 바뀐 휴대전화의 화면 모양. ‘휴대전화는 세로’라는
고정관념
을 깨고 화면을 가로로 돌려 볼 수 있도록 했다. 그래서 붙은 이름이 ‘가로본능 폰’이다. 광고는 ‘만약 세로라면 얼마나 불편할까’라는 질문을 통해 우리가 잊고 있던 가로본능을 자연스럽게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교사들의 참가가 필요한데 실제로는 업무 부담이나 ‘교사는 가르치기만 하면 된다’는
고정관념
에 가로막혀 새로운 교육방법의 연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안타까워했다. “과학교사는 전문가여야 합니다. 단순히 가르치는데 머무르지 않고 학생들에게 일어나는 인지 과정을 알아야 지도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하고 싶다는 것이 플래시 세대의 강렬한 욕구이기 때문이다. 쇠처럼 단단한 기성세대의
고정관념
을 절단하고, 신세대의 모든 것을 접합시켜 보고 싶은 욕망이다. 이 욕망은 ‘플래시댄스’의 주제곡 ‘What a feeling’에 나오는 가사 ‘Take your passion and make it happen’으로 설명할 수 있다. 플래시 세대가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억 때문에 새로운 정보를 잘못 재구성해낸 것이다. 이를 ‘오기억’이라고 한다. 기대,
고정관념
, 편견 등이 바로 오기억의 산물이다.교사가 새로운 지식을 가르친 다음 그 내용을 바탕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숙제를 내주면 학생은 기억한 내용을 재구성해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온다. 오기억을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미각은 맛봉오리가 있는 혀의 모든 지점에서 감지될 수 있다”며 “혀지도는 과학에서도
고정관념
을 버리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경북대 김언경 교수는 “특정한 맛에 대한 민감도가 혀의 위치에 따라 약간 다를 수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혀 전체에서 느낄 수 있다”고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로 인해 공의 회전력이 더욱 커져 그 해 월드컵에서는 여느 해보다 많은 골이 터졌다.
고정관념
을 철저히 깬 축구화와 축구공은 모두 아디다스의 작품이었다. 1년에 하나 이상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겠다는 아디다스의 의지를 그대로 실천한 것. 아디다스 1은 그런 아디다스의 가장 최근 작품이다. ... ...
4. 디자인은 배려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길을 가다보면 걷기 불편한 사람들이 보행보조기에 의존해 이동하는 장면을 가끔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보행보조기란게 쇠파이프를 적당한 모양으로 구부려 붙여놓은 듯, 영 보기가 좋지 않다. 보행을 도와준다는 기능성만을 고려해 디자인했기 때문이다.“몸이 불편한 모습이 남들에게 보여지는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