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집안일 하다 떠올린 팬케이크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경우 몇 번이나 뒤집어야 차례대로 정렬할 수 있을까?’ 굿맨은 이 문제를 수건에서 팬케이크로 바꿔 미국의 수학 학술지 ‘미국 월간 수학’에 보냈다. 재미있는 건, 자신의 이름 대신 ‘해리 드웨이터’라는 가명을 써서 보냈다. 당시 한창 수학자로서 명성을 쌓아가던 굿맨은 사람들이 자신을 ... ...
- 가마 없이 고양이 털 빗을 수 있을까?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따라서 공 모양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고양이의 털을 모든 점에서 가마 없이 빗는 건 불가능하다. 항상 2개의 가마가 생긴다. *오일러 지표 : 위상수학의 기초가 되는 불변량 중 하나로, 다면체의 오일러 지표는 ‘꼭짓점의 개수(v) - 모서리의 개수(e) + 면의 개수(f)’로 구한다. 곡면의 오일러 ... ...
- [SF 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어떤 의미로든 찍히게 된 것 같아 찝찝하기만 했다.선도 구태인이 되고 싶어서 된 건 아니었다. 태어나보니 구태인이었다. 과거에는 자신의 의지로 사망할 때까지 구태인으로 남은 인간들이 제법 있었으나, 현대에는 출생과 동시에 우나의 판단으로 사이보그와 구태인이 분류됐다. 지하 도시정부의 ... ...
- [가상인터뷰] 계절별미 ‘흰개미’ 즐기는 침팬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캘리포니아대 인류학과 교수팀이 우리가 왜 낚시를 하는지 알아냈어요. 연구팀은 건기와 우기가 명확한 탄자니아의 이사 계곡에서 우리를 연구했어요. 연도별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13개의 흰개미 둔덕에 설치한 트랩 카메라로 계절과 기후에 따른 흰개미의 움직임을 분석했죠. 이를 통해 그들은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공존하는 미래를 기대했습니다. 이 프로는 “실외 이동로봇의 이름을 개미라고 지은 건 사람과 친숙하게 공존하길 바라기 때문”이라며 “로봇이 사람의 일자리를 뺏는 게 아니라 사람의 편의를 더 높여주는 데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길을 걷다 마주한 실외 이동로봇을 방해하면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온코크로스 대표직을 5년 넘게 병행해 왔지만, 2021년 2월 병원을 그만뒀다. 몸이 힘든 건 문제가 아니었다. 오전에는 의사로 환자들을 만나고, 오후에는 회사를 운영하고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가로 살면서도 “힘든 줄을 몰랐”지만, 회사가 커지면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해졌다. 하지만 김 대표는 ... ...
- 피자 먹을 때 나도 모르게 수학한다! 빼어난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따끈따끈한 피자 한 판이 눈앞에 있다. 그중 가장 토핑이 많고 맛있어 보이는 조각의 끝부분을 잡고 들어 올린다. 쭉 늘어난 치즈에 침이 꿀꺽! 앗, 그런데 너무 많이 토 ... 사이즈에 비해 더 비싸긴 해도 4배까지 차이 나는 곳은 없었다. 그러니 앞으로 피자는 무조건 라지 사이즈로 시키자 ... ...
- 행복과 경제가 보인다! 냠냠 지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환율을 찾는 데 참고할 수 있을 거라 보고 빅맥 지수를 만들었다. 이 지표는 같은 물건은 어디서나 값이 같아야 한다는 ‘일물일가의 법칙’을 전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화폐 가치가 적정한지 살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빅맥 1개가 미국에서 3달러이고 일본에서 300엔이라 할 때 ... ...
-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울음소리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몸집이 큰 말매미는 ‘따라 라라~’하고 리듬 없이 운다. 사랑의 세레나데를 부르는 건 수컷이다. 수컷 매미가 작은 몸집으로도 우렁차게 소리 낼 수 있는 비결은 몸속이 절반 이상 비어 있기 때문이다. 마치 나무로 된 기타의 속이 비어 있는 것처럼 말이다. 기타 줄을 튕기는 것처럼 매미는 양쪽 ... ...
- [천문학자] 다 같이 돌자, 지구 한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나지 않을 정도로 정확했어요. 여러분이 지금 비행기를 타고 전 세계를 누빌 수 있는 건 옛날부터 아리스토텔레스나 에라스토테네스 같은 학자들이 지구의 모양과 크기를 밝혀낸 덕이에요. 현대의 천문학자들은 지구를 넘어 우주 곳곳을 파헤치고 있지요. 앞으로 매월 15일 자마다 천문학자가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