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지
표지판
학벌
패
문벌
외모
표시
d라이브러리
"
간판
"(으)로 총 14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박사급 연구원의 수가 적기 대문에 본연의 임무인 연구보다는 행정이나 대외창구의
간판
구실로 적지 않은 시간을 보낸다는 것이다.시설기자재나 연구시간 부족의 문제만이 장애요소는 아니다. 자신의 전공 하나에만도 수십 수백명의 연구자들이 두꺼운 층을 형성해 서로의 논문을 비판하고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선(先)지원으로 자신의 지망대학과 학과를 결정했지만 입시창구 앞에서의 '적성이냐,
간판
이냐'의 갈등은 올해도 어김없이 치른 홍역이었다.치열한 입시경쟁 속에서는 '당장 붙고 보자'는 식의 지원풍토가 횡행하지만 대학진학이 장래의 사회진출까지 결정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결국 최선의 ... ...
음양 팔괘와 이진법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개발작업을 완료한 그는 생계를 위해 꾸려왔던 가게를 정리하고 '컴퓨터 역학센터'라는
간판
을 달아 본격적인 컴퓨터 점술사업을 시작했다.컴퓨터 주역을 보는 방법은 자신의 생년월일과 태어난 시를 컴퓨터에 집어넣기만 하면 된다. 이때 생년월일은 양력이든 음력이든 상관없는데 이는 컴퓨터가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대단한 붐을 이뤘다. 유전공학자가 결혼대상 0순위로 선정될 정도였고, 유전공학
간판
만 걸면 우수한 학생들이 모여 들었다. 마치 금방 유전공학이 세상을 뒤바꿔 놓을 듯이.이런 들뜬 현상과는 달리 연구현장의 실상은 초라하기 짝이 없었다. 연구의 3요소(인력 자금 시설) 모두가 미비했다.당연히 ... ...
환경오염에 눈 뜬 동유럽국가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배출했다. 연간 3백일 이상이 도시는 스모그에 뒤덮인다. 원래의 색을 보존하고 있는
간판
은 거의 없으며, 검은 먼지가 휘날리고 이상한 냄새가 코를 찔러 마스크를 쓰지 않고는 거리를 나다닐 수 없을 정도다.이러한 대기오염의 원흉은 에너지원의 70% 이상을 점유하는 갈탄이다. 동독의 에너지원 ... ...
잊혀져 가는 옛조상의 땅 중국동북지방의 고구려 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뿐이다.고구려의 제2도읍 국내성(国內城) 자리에는 길림성중요문화재라고 쓴 콘크리트
간판
이 초라하게 서있다. 주변에는 민가가 있다. 옛기록에는 둘레가 2천6백86m나 되었다는 성벽이 1천5백여년의 세월이 지나는 동안 모두 허물어지고 지금은 돌과 흙으로 쌓은 성벽흔적이 간간이 1∼4m 정도 높이로 ... ...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특히 우리 대학에서는 심각해요. 몇몇 학과에 들어오는 학생중에는 순전히 외대라는
간판
을 따기 위해 지원한 경우도 있어요. 이 학생들은 입학 후 엉뚱한 방향에서 길을 찾아요. 예를 들면 어학계 학생이 1학년때부터 고시를 준비하기도 하지요. 그래서 고시에 합격한 학생도 있지만, 한편으로 ... ...
환경과 공해연구회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등 세부류로 나눠진다.전문위원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는데 이 연구회의 '
간판
'에 속한다. 회장인 김정욱교수를 비롯 김상종교수(서울대 미생물학과) 이정학교수(서울대 공업화학과) 황상익교수(서울대 의대) 신동천교수(연대 의대) 조중래교수(한양대 교통공학과) 김환석박사 ... ...
한방약의 고향 중국의 안국시 약재시장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안국의 약재시장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고 전해지고 있다.기주약시(祁州藥市)라고 쓴
간판
이 있는 교역장문 옆에는 중국의 의성(医聖) 10명을 모셔놓은 약왕묘(藥王廟)가 있다. 명나라시대에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는 약학서(전52권, 1596년 간행)을 편찬한 이시진(李時珍·1518~93)의 상도 있다. 교역장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원조로 우리나라에 응용과학연구소 설립을 합의했고 이 결과로 66년 2월 서울 YMCA 건물에
간판
을 내걸고 KIST가 문을 열었다.서울대 자연과학 협동과정에서 과학사를 전공하고 있는 김근배씨는 최근 역사학대회에 낸 논문에서 "KIST는 한국의 베트남 참전 댓가였으며 미국 '바텔'기념연구소가 연구소의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