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문
후기인상파
인상파
후반기
보유
d라이브러리
"
후기
"(으)로 총 426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09
있다.마그마 바다가 거의 식고 난 뒤 달에는 엄청나게 많은 소행성이 충돌했는데, 이를
후기
집중충돌 가설이라고 한다. 최근의 태양계 생성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약 38억 년 전 목성과 토성의 영향으로 인해 갑자기 소천체 밀집 지역의 소천체들이 태양계 안쪽과 바깥쪽으로 한꺼번에 이동했다고 ... ...
브라키오사우루스 체온 사람과 비슷했다
과학동아
l
201108
답은 사람의 체온과 비슷한 37~38℃ 내외.미국 칼텍 지구과학부 로버트 이글 교수팀은
후기
쥐라기 초식 공룡의 이빨 화석을 분석해 이런 해답을 얻었다. 연구자들은 체온에 따라 이빨의 법랑질을 이루는 무기결정(미네랄)의 동위원소 비율이 다르다는 원리를 이용했다. 즉 법랑질 미네랄의 탄산염의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06
임진왜란을 기준으로 전,
후기
로 나뉘는데, 특히 전기에 매장된 미라가 많다. 드물게
후기
에 만들어진 무덤에서도 미라가 발견되지만 보존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다. 그리고 사대부 가문 무덤에서만 발견된다.왜 고려시대나 삼국시대의 무덤에선 미라가 발견되지 않을까. 왜 중인, 천민계층의 ... ...
네안데르탈인, 정말 현생인류 만났나
과학동아
l
201106
도로니체프 박사 연구팀은 흑해 동쪽에 위치한 러시아 메즈마이스카야 동굴의 중~
후기
구석기 지층에서 채취한 두 구의 네안데르탈인 신생아 유골 25개에서 콜라겐 성분을 뽑아내 탄소동위원소 연대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이 지역의 네안데르탈인이 기존보다 수천 년~1만 년 이른 약 4만 3000년 전에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03
아니면 혹시 친구가 될 수 있을까요. 일부 네안데르탈인들은 호모 사피엔스의 발달한
후기
구석기 기술을 배웠잖아요. 어쩌면 우리가 서로 결혼하는 일도 가능할지도 모르겠어요.이제 우리 사이가 아주 가까워졌습니다.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2만 4000년 전 이베리아 반도 서쪽 끝에 살던 우리가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
수학동아
l
201102
눈을 새겼다.쌍륙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전기까지는 상류층에서 즐기다가 조선시대
후기
에는 민간에까지 널리퍼졌다. 그 기록을 조선왕조실록과 고려사, 목민심서 등 다양한 문헌에서 볼 수 있을 정도로 널리 사랑받았다.쌍륙을 현대에 맞게 고친 용호쌍륙 용호쌍륙은 주사위 2개로 즐길 수 있는 ... ...
티라노사우루스의 조상 발견
과학동아
l
201102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의 조상 ‘에오드로마에우스’가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됐다. 2억 3000만년 전
후기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이 공룡은 벨로시랩터나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같은 이족보행 육식공룡(수각아목)의 조상이다. ...
“좋아하는 과목 공략이 금메달 비결”
과학동아
l
201102
종로구에 있는 서울과학고는 조선
후기
학자 송시열의 집터에 세워졌다. 송시열의 글자가 새겨진 ‘천년바위’는 이 학교의 상징이다. 서울과학고 동문들은 그 이름을 따와 ‘천년바위’ 커뮤니티를 만들어 끈끈한 네트워크를 이어오고 있다. 서울과학고의 또다른 명소는 학생들의 활약상을 볼 수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3
발견된 점이다. 지금까지 깃털은 벨로키랍토르와 같이 새와 진화적으로 가까운 백악기
후기
의 작은 수각류 공룡에게서 볼 수 있었다. 그런데 그보다 네 배나 큰 백악기 전기 공룡에서 깃털 구조가 발견된 것! 이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공룡에게 깃털이 훨씬 널리 퍼져 있었음을 보여 ... ...
전통건축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8
나무로 지은 누각도 있어요. 그 중 남문에 해당하는 팔달문과 북문 장안문은 조선
후기
의 건축 양식이 남아 있는 대표적인 건물로 꼽히고 있답니다. 가까이 가서 보면 광화문 못지 않게 크고 웅장한 지붕을 볼 수 있어요. 이런 지붕을 만든 비결을 알아보겠습니다.지붕이 날렵한 ‘ㅅ’ 자인 이유는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