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d라이브러리
"
출력
"(으)로 총 986건 검색되었습니다.
3D 전자블록 딱킷으로 통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3
조절한단다.정답은 3번 가변저항 모듈이겠네요! 저항값을 조절하면 라디오 소리의
출력
량을조절 할 수 있는 거죠?아…, 아니! 어떻게 이렇게 쉽게 맞췄지?언니한테 이 정도는 기본이라고요~!오늘은 라디오만 만들었지만 딱킷으로 녹음기나 거짓말탐지기 등 모두 21가지의 전자제품과 회로를 만들 수 ... ...
스스로 집 찾아가 에너지 채운다
과학동아
l
201211
아무런 동작을 취하지 않다가 특정 파장을 지닌 적외선을 인식하면 신호를
출력
하기 시작한다. 평상시엔 ‘0’이라는 신호를, 적외선을 만나면 ‘1’이라는 신호를 보낸다.빛을 보면 날아드는 날파리처럼아무리 적외선 신호를 인식해 움직인다지만 충전하기 위한 단자에 어떻게 자신의 몸을 정확히 ... ...
Part 3. 미래전은 5차원 전쟁
과학동아
l
201210
프로그램), 치핑(외국에 판매될 무기가 특정 조건에서 고장 나도록 조작하는 것), EMP, 고
출력
전자총 등을 무기로 사용한다. 미래의 모든 무기와 병사들은 모두 네트워크로 연결되기 때문에 사이버전에서 패배한다면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병력집중 벗어나 고효율 정밀타격전정밀유도무기의 발달로 ... ...
Bridge. 비살상무기
과학동아
l
201210
상부에 달린 고
출력
전자파 발생장치와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해 약 100kW(킬로와트)
출력
의 95GHz 초단파를 발사한다. 발사된 초단파의 에너지는 피부 표피층에 흡수돼 열에너지로 전환되고 이 에너지는 통각 신경세포를 자극한다. 따라서 실제 물리적 부상 없이도 54℃ 화상 수준의 통증을 느끼기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
과학동아
l
201210
떨어졌다.조사 결과 페어링 분리에 필요한 화약이 터지기 위해서는 고전압 전류가
출력
돼야 하는데 방전현상이 발생해 216초에 화약이 폭발하지 않았다는 게 원인이었다. 이에 따라 페어링 분리기구가 불완전하게 움직이면서 기계적으로 페어링이 끼는 현상이 발생했다. 두 번째 발사는 2010년 6월10일 ... ...
레이저 선배 ‘메이저’ 상온 첫 성공
과학동아
l
201209
주파수와 위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크기만 증폭한다. 하지만 초기엔 크기에 비해
출력
이 약해 효율이 떨어지는데다, 절대 영도(영하 273℃)에 가까운 온도와 극저압에서만 작동해 이용에 제한이 많았다. 메이저는 금세 빛(가시광선)의 파장을 중첩한 ‘레이저(1960년)’에 자리를 내주고, 이후 50년 ... ...
PART 1. 우리 시대 최고의 자동차
과학동아
l
201209
더많은 연료나 공기를 공급한다. 폭발력이 더 커진다. 연료의 폭발력이 높아지면 엔진의
출력
(엔진의 회전력)이 향상된다. 이는 엔진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열 발산을 쉽게 한다.커먼레일엔진(CRDi)은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압축장치와 분사장치를 이용한다. 커먼레일이라는 일종의 철로에 연료를 ... ...
PART 3.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
과학동아
l
201209
엔진까지 동력전달계 전부가 하이브리드 전기차용으로 개발됐다.엔진의 경우
출력
은 낮지만 고효율인 아트킨슨 사이클을 적용했다. 이 사이클은 1882년 아트킨슨이 제안한 내연기관 방식이다. 내연기관은 흡입-압축-폭발-배기 단계로 구동되는데 각 단계의 길이(시간)는 같다. 아트킨슨 사이클은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09
조재필 교수 연구팀이 탄소로 코팅된 단결정 나노입자 클러스터를 전극으로 이용해
출력
은 높고 충전시간은 짧은 리튬 2차전지를 개발한 것이다. 사실 2차전지 음극소재는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해 왔다. UNIST 교수진이 이것을 개발함으로써 연간 1000억 원의 수입대체효과를 창출했다. 게다가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08
있었다. 10펨토초 정도의 짧은 시간만으로 충분한 회절 신호를 얻을 수 있을 만큼 X선이 고
출력
이어야 하기 때문이다.[X선 회절로 얻은 정보를 컴퓨터 알고리듬을 통해 복원하면 실제 눈으로 보는 것 같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이미지를 복원한 모습.]현대과학기술은 나노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