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정
지명
선정
약속
명령
지시
지적
d라이브러리
"
지목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돌목의 거센 물살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04
서해 끝자락에 위치한 울돌목과 장죽수도, 맹골수도가 조류발전소의 최적지로
지목
되고 있다. 이 본부장은 “세 곳의 발전량을 모두 합치면 연간 110만kWh에 이른다”며 “이는 약 20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이라고 말했다.전세계적으로 조류발전소는 아직 시험 단계다. 풍력발전의 경우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4
하면 할수록 전기용량이 점점 줄어드는 현상으로, 전지의 충전주기가 짧아지는 원인으로
지목
된다. 삼중·사중 안전장치풍부한 전기용량에도 불구하고 리튬이온전지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일반 리튬금속은 물이나 공기와 활발히 반응하는 불안정한 성질을 띠고 있다. 리튬은 작은 수분에도 ... ...
PART3 폐식용유 먹고 달리는 자동차
과학동아
l
200803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미세분진이 지구온난화와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지목
되면서 이를 대체할 바이오연료가 등장했다. 바이오연료는 사탕수수나 콩, 고구마, 해초, 축산폐기물, 생활쓰레기를 원료로 만들어진다. 휘발유 대신 사용되는 바이오에탄올은 녹말이 포함된 작물에서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01
석유를 포함한 탄소화합물이 천덕꾸러기가 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
되면서부터다. 최근 온실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혐기성 미생물은 인간이 배출하는 쓰레기를 분해해 청정에너지로 만드는 데 유용하다. 더러운 쓰레기도 혐기성 미생물의 힘을 ... ...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학자
과학동아
l
200801
장비까지 직접 제작했답니다.”커다란 삼각대 위에 놓여 있는 이 망원경은 원하는 별을
지목
하면 알아서 찾아간 뒤 추적하는, 세계에서 하나뿐인 고성능망원경이란다. 오 교수의 전공이 잠시 헷갈린다.사실 오 교수는 개기일식 마니아다. 개기일식은 달이 태양을 삼키는 ‘우주쇼’다. 1999년 ... ...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11
지구의 평균온도를 0.7℃ 올려 이상기후의 ‘열병’에 빠뜨린 용의자로 이산화탄소를
지목
하고 그 발자국을 쫓고 있다. 또 사람들 개인의 탄소발자국 크기는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운동도 활발하게 벌이고 있다.당신의 탄소발자국은 얼마입니까? 지난 2월 유엔 ‘기후변화 ... ...
식물이 '흑기사' 부르는 전략
과학동아
l
200708
목격하고 여성 연구원이 사용하는 화장품의 주요성분인 자스몬산을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
했다. 연구팀은 “자스몬산과 휘발성 기체에 대한 메커니즘을 더 명확히 밝혀 친환경적인 농법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 ...
INTRO 환경기술 없이 장사 못한다
과학동아
l
200707
총합이 정해져 있다면?허무맹랑한 이야기로 들릴지 모르지만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
된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 최근 영국에서 제안된 방법이다. 환경문제 시장원리로 푼다영국의 스낵 회사 워커스의 감자튀김 겉봉에는 ‘CO2 75g’ 로고가 붙어있다. 감자튀김 한 봉을 만들면서 원료 ... ...
PART1 가솔린 무너뜨리는 바이오에탄올
과학동아
l
200707
평균 6.7% 뛰었다. 1980년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바이오에탄올이 물가 상승의 주범으로
지목
된 근본적인 이유는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데 사람과 가축의 식량으로 사용하는 옥수수나 사탕수수가 엄청나게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4륜구동 차량 한 대의 연료통을 가득 채울 바이오에탄올을 ... ...
알약으로 치매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04
메커니즘을 차단하면 치매를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그가 치매의 주원인으로
지목
한 C단 단백질은 베타 아밀로이드보다 독성이 10배나 더 강한 물질이다. 뇌를 파괴하는 속도도 그만큼 빠르다. 때문에 C단 단백질의 역할과 결합 메커니즘을 규명한 서 교수의 연구결과는 치매에 대항할 약물을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