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흔적
자국
유풍
자욱
발자취
상처
얼룩
d라이브러리
"
자취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의 이웃사촌 익룡과 어룡
과학동아
l
200003
1억8천8백만년 전에 육상 악어로부터 진화했으며, 남극대륙을 제외한 거의 전세계에서
자취
가 발견된다.가장 잘 알려진 것은 독일에서 발견된 스테네오사우루스(Steneosaurus)이다. 스테네오사우루스의 등과 배에는 육상 동물의 특징인 비늘이 덮여 있었다. 이빨이 난 긴 주둥이의 모습은 현재 인도에서 ... ...
IMT2000 앞에 선 핸드폰의 운명
과학동아
l
200002
살펴보며 우리가 주목할 점은 서비스의 진화 앞에서 이전 서비스들은 흔적도 없이
자취
를 감췄다는 것이다.이동전화를 얘기하며 우리는 어느 누구도 이전 서비스에 대해 얘기하지 않으며 전문가들 이외에 그 존재에 대해 아는 사람도 많지 않다. 그런 점에서 IMT2000은 지금 PCS와 핸드폰에게 일대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01
있는가를 알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며칠을 관측하면 태양이 별자리 사이를 지나가는
자취
를 발견할 수 있다. 하지와 동지 찾기하지나 동지를 아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달력을 보는 것이다. 달력이 만들어지기 전 고대인들은 어떻게 하지, 동지를 알아내었을까? 해의 움직임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 ...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
과학동아
l
199911
사자자리 유성우에 속하는 유성은 밝은 것이 비교적 많고, 그 중에는 유성이 지나간
자취
에 빛나는 연기자국을 남기는 것이 있다. 이것은 유성흔으로, 보통 1-2초 동안 보이지만 가끔 5분을 넘는 연기자국이 관찰되기도 한다. 이 유성흔을 쌍안경으로 보면, 상층대기의 흐름에 의해 형태가 변해 가는 ... ...
환경재앙 경고한 카슨의 '침묵의 봄'
과학동아
l
199908
먼저 변화가 왔다. 1940년대까지만 해도 북아메리카에서 흔하게 볼 수 있던 송골매가
자취
를 감춘 것이다. DDT가 체내에 쌓인 새들이 낳은 알들은 껍질이 부드러워 쉽게 깨졌기 때문이었다. 결국 부화율이 현저하게 떨어진 송골매는 사라지고 말았다.사람의 몸에도 먹이사슬을 통해 건너온 DDT와 같은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04
위해서는 어떤 조건들이 필요할까. 도넛 모양의 무지개는 없는 것일까. 도시의 하늘에서
자취
를 감춘 무지개를 지상(紙上)에서 만나보자.“서쪽에 무지개가 서면, 소를 강가에 매지 말라”는 속담이 있다. 이는 편서풍대에 자리잡은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경험적인 일기예보다. 서쪽에 있던 비구름이 ... ...
제우스를 감동시킨 형제애
과학동아
l
199902
있지만 천정에는 카스토르와 폴룩스 형제의 쌍둥이자리와 게자리가 늦겨울의 마지막
자취
를 아쉬워하듯 중천에 버티고 있다.쌍둥이자리 Gemini●중심위치: 적경 7시 1분, 적위 +24도(2000년 기준) ●자정 남중: 1월 15일 ●별 수: 47개(5등성까지)쌍둥이자리는 스파르타의 왕비 레다가 백조로 변신한 ... ...
밤하늘의 수채화 성운
과학동아
l
199901
성운은 발광성운이나 반사성운처럼 주변에 있는 별빛의 도움을 받아야 비로소 그
자취
를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별빛의 도움을 직접 받지 않고도 충분히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성운이 바로 암흑성운이다. 이 성운은 아주 두꺼운 가스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보이지 ... ...
젓갈
과학동아
l
199812
조선시대의 중기까지는 서울 사대부가에서 상용하던 식품이나 18세기 이후 이 지역 에서
자취
를 감췄다. 현재는 함경도와 강원도의 특산품으로 알려져 있다. 식해는 절인 생선 과 밥, 고춧가루, 마늘 등을 함께 버무려 유산균 발효를 일으킨 것으로 부패하기 쉬운 생선 을 1개월 정도 보관할 수 있는 ... ...
2. 진화론의 산실
과학동아
l
199811
점점 줄어들고 있다. 한때 산살바도르섬과 발트라섬에 많았던 육지이구아나는 거의
자취
를 감췄고 다른 섬에서만 볼 수 있다.야생동물의 숫자가 감소하는 것은 주민들이 마구잡이로 사냥하거나 외부에서 들여온 가축이나 애완동물 때문이다. 이런 유입종들은 토착종들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먹이를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