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지방세포로 흉터 없이 상처 치료
과학동아
l
201702
교수팀은 상처 난 부위에서 어떻게 지방세포를 생성하는지를 밝혀 ‘사이언스’ 1월 5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쥐의 피부에 난 상처가 낫는 동안 근섬유아세포를 지방세포로 리프로그래밍하면 흉터가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했다. 리프로그래밍은 체세포 등이 다른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 ...
[과학뉴스] 개코원숭이도 모음을 말할 줄 안다?
과학동아
l
201702
언어의 진화 과정을 밝힐 새로운 단서가 나왔다. 프랑스 엑스마르세이유대 인지심리학과 조엘 파고트 교수팀은 개코원숭이(Papio papio )가 모음에 가까운 발성을 할 수 있다는 ... 언어가 진화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플로스원’ 1월 11
일자
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얼음 구름의 생성 순간을 보다
과학동아
l
201702
흡수해 얼음 결정을 형성하는 과정을 촬영해 학술지 ‘물리화학·화학물리’ 2016년 11월 21
일자
에 발표했다.구름은 태양 빛을 반사해 지구를 시원하게 하거나, 지구에서 빠져나가는 방사선을 흡수해 지구를 데우는 등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복잡한 화학작용으로 공기 중에 얼음 결정 구름이 ... ...
[과학뉴스] 약만 발라도 충치 치료될까?
과학동아
l
201702
줄기세포를 자극해 충치의 손상부분을 재생했다고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월 9
일자
에 밝혔다.치아는 바깥쪽의 단단한 법랑질과 여기에 붙어있는 상아질로 구성된다. 그보다 더 안쪽에는 신경과 혈관 줄기세포가 있는 치수가 있다. 연구팀은 세포의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는 물질인 ... ...
[과학뉴스] 어른이 돼도 자라는 뇌 부위 있다?
과학동아
l
201702
얼굴을 인식하는 부위는 어른이 돼도 계속 자란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1월 6
일자
에 발표했다.그간 뇌의 부피 성장은 12세가 되면 완성되고, 각 부위는 시냅스가 활발히 가지를 치면서 생긴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연구팀이 어린이와 어른 각각 22명과 25명의 뇌를 정량적자기공명영상(qMRI ... ...
[과학뉴스] 어린이는 슈퍼 영웅의 ‘공격성’을 배운다
과학동아
l
201702
부모는 아이들이 정의로운 사람으로 자라길 바라는 마음에 슈퍼 영웅이 나오는 영화를 보여준다. 그런데 최근 연구 결과, 미취학 아동은 슈퍼 영웅의 방어 행동이 아닌 공격 행동에 ... 갖도록 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이상아동심리학’ 1월 9
일자
에 실렸다 ... ...
[과학뉴스] 만성통증, 새로운 치료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702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10%인 250만 명은 만성통증에 시달리고 있다(대한통증학회 통계). 만성통증은 이유 없이 두통, 요통 등 통증을 느끼는 병으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치료도 어려 ... 방법을 찾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16년 12월 19
일자
에 실렸다 ... ...
[과학뉴스]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
과학동아
l
201702
최근 국내 연구진이 광학컴퓨터를 개발하는 데 돌파구가 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광학컴퓨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자칩에 집적시킬 만큼 작은 레이저를 제어하는 기술이 ...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21
일자
에 게재됐다 ... ...
[과학뉴스] 달고 기름진 식단이 살찌는 이유
과학동아
l
201702
먹으면 뇌가 폭식을 하도록 자극된다는 연구 결과가 학술지 ‘생리학과 행동’ 1월 11
일자
에 실렸다.미국 UC리버사이드 의생명과학과 니콜라스 디파트리지오 교수팀은 지방이 많은 서구식 식단은 ‘엔도카나비노이드 시스템’을 작동시켜 식욕을 더 왕성하게 한다고 설명했다.엔도카나비노이드는 ... ...
[과학뉴스] 보안이 걱정된다면 ‘녹아 없어지는 메모리’
과학동아
l
201702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장과 김대형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빛을 받으면 정보를 저장한 부분이 녹아 없어지는 새로운 보안 메 ... 안전하게 관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 4
일자
에 게재됐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