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클리드
유크리드
기하학
d라이브러리
"
유클리드기하학
"(으)로 총 13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사고실험으로 이어진 16세 소년의 꿈
과학동아
l
199602
광속으로 달릴 수만 있다면 늙지 않고 우주여행을 할 수 있다. 아인슈타인의 예언은 이 뿐이 아니다. 그는 중력에 의해 공간이 휘고, 빛이 빠져나올 수 없는 블랙홀이 존재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의 예언 중 백미는 E=mc². 다른 예언들이 시간과 우주에 대한 사고를 넓혀주었다고 한다면, 이 공식은 ... ...
진화론 VS 창조론
과학동아
l
199512
과학동아 10월호에 게재된 '진화·창조' 논쟁에 대해 30여명의 독자들이 의견을 보냈다. 모든 글에서 생명의 본질에 대한 열성적인 사고와 진지한 자세가 느껴졌다. 진화론 만세를 외쳤던 '친화론을 보호하고자 하는 사람들'(심주현 신흥식 이용걸)은 원고지 31매 분량으로 집필하고 다시 요약본을 첨 ... ...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
과학동아
l
199505
나일강변의 토지측량에서 출발한
유클리드기하학
은 정·반·합의 과정을 거쳐 우주의 구조를 밝히는 리만기하학으로 성장했다.교과서적으로 말한다면 기하학이란 '도형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도형에 관한 연구는 이집트 바빌로니아 등 오리엔트의 대제국에서 발생했다. 대제국을 운영하기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
과학동아
l
199504
정사각형의 넓이가 하나의 곡선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선분은 폭이 없는 것'이므로 그것이 아무리 모아져도 넓이를 갖는 평면은 만들 수 없는 것이 상식이다. 그러나 1890년 이탈리아의 페아노는 '점의 궤적'으로 평면을 그릴 수 있음을 증명했다.19세기 말 칸토 ... ...
1 자연 형태 비밀의 열쇠 기하학
과학동아
l
199502
B.C.600년부터 3백년간 크게 융성한 그리스 기하학은 물리학 천문학 생물학은 물론 철학 등 모든 학문의 기반이 됐다.기하학(geometry)과 형태학(morphology)의 언어학적 기원은 모두 그리스어. 대지(땅)를 의미하는 geo와 측정을 의미하는 metria가 합성돼 geometry가 됐고, 형(形)을 의미하는 morphe와 과학적 탐구 ... ...
4 눈결정의 미학은 온도·수증기 합작품
과학동아
l
199502
프리즘형, 6각형, 복잡한 나뭇가지형. 겨울 하늘을 춤추는 눈의 결정은 하나도 같은 것이 없다. 왜 이렇게 다양한 눈의 형태가 결정되는 것일까.눈의 결정은 우리들에게 가장 친숙한 결정 중의 하나일 것이다. 눈 결정을 자세히 살피면 어느 것 하나 똑같은 것이 없다. 눈결정의 다양성은 왜 생기는 ... ...
수학난제 '페르마 정리'의 증명 과연 성공했는가
과학동아
l
199501
이제 진정 '페르마의 정리'가 증명된 것일까. 지난 93년 와일츠 교수의 발표 이후 온갖 화제로 들끓었던 수학계의 흥분은 아마도 코언의 새로운 논문 발표로 일단 막을 내린 것 같이 보인다.지난해 10월28일자동아일보에 '수학계 3백년 난제 풀릴 듯'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지난 93년 6월23일 미 ... ...
길이·각도가 빚는 신비의 삼각함수
과학동아
l
199412
삼각함수의 특성은 3백60˚를 단위로 해서 한 바퀴씩 돌아간다는 사실이다. 그 주기성 때문에 삼각함수가 모든 과학의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고대 그리스인은 도형의 과학 기하학을 만들고 그것을 유클리드의 저서 '원론'에서 완전히 체계화했다. 하지만 그들의 기하학은 길이와 넓이,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11
미분과 적분은 서로 반대의 의미를 갖는다. 미분은 분석이고 적분은 총합이다. 이를테면 원목을 적당한 크기의 재목으로 만들고 또 석회를 분석해서 시멘트를 만드는 것은 분석이다. 이들 재목과 시멘트로 빌딩을 짓는 것이 총합이다.수학이 처음 시작된 것은 움직이지 않는 것을 대상으로 하면서 ... ...
수학의 난제 π값 계산
과학동아
l
199410
수학사상 가장 어려운 문제중 하나가 '원과 같은 넓이를 갖는 정사각형의 한변을 구하는 것'이다. 그것은 원지름과 원둘레의 비, 즉 원주율을 구하는 문제에 귀착된다.인간이 발명한 물건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수레바퀴다. 이것은 원을 직선 위에 세우면 한 점에서만 만나기 때문에 가장 적은 마 ... ...
이전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