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로"(으)로 총 921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02
- 때도 요긴하다. 저장조는 원전에서 1차 계통 다음으로 방사능 오염이 심한 곳인데, 가로․세로 15m에 높이가 10~15m다. 저장조를 제염액으로 채우는 대신 거품으로 벽면만 제염하면 폐기물을 확 줄일 수 있다. 거품목욕으로도 벗겨내지 못한 벽면의 방사능 때는 제염패치를 개발해 붙일 계획도 세우고 ... ...
- [수학뉴스] 우주의 시공간을 황금비율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501
- 하지만 우주가 왜 황금비율을 따르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황금나선★ 가로와 세로 비가 1:1.618, 즉 황금비율을 따르는 황금사각형을 그린 뒤 그 안에 작은 황금사각형이 생기도록 계속 나눈 다음 황금사각형의 꼭짓점을 반원으로 이어 만든 것이다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01
- 편서풍을 타고 오는 오염물질이 큰 영향을 미쳤으리라고 짐작하고 있다. 일본도 열도를 세로로 가르는 산맥을 기준으로, 서쪽에 해당하는 동해 쪽 지역은 지의가 잘 자라지 못하고, 태평양 쪽을 향한 지역에서는 잘 자라고 있다.지의는 인공적인 복원이 거의 불가능한 생물이다. 생장 속도가 아주 ...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24
- 아코디언처럼 주름으로 접혀 있는데, 소행성을 발견하면 쭉 펴지게 돼. 그럼 가로 15m, 세로 10m의 대형 비닐백으로 변신하지. 소행성이 움직이는 방향의 90℃로 다가가 비닐백 안에 들어오도록 천천히 움직인 뒤, 마치 짐을 싸듯 비닐이 다시 오그라들며 소행성을 붙잡는 거야. 그 다음 원하는 곳으로 ... ...
- 도심의 숨구멍, 환풍구를 안전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422
- 세로 1m인 정사각형위에 어른 두 명도 올라갈 수 없는 강도다.환풍구 덮개는 가로 1개, 세로 2개의 지지대에 놓여 있었다. 그런데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자, 무게를 이기지 못한 지지대가 끊어지며 수십 명이 20m 구멍 아래로 추락했다.주의 문구 없음덮개 아래는 떨어지는 물체나 사람을 지탱할 수 ...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12
- 해머 소리가 들리는 듯 했다. 활엽수가 무성하게 덮인 벌판 한가운데에 놓인 가로 1km, 세로 0.5km의 부지 위로 남프랑스 프로방스의 따스한 햇살이 내리쬐고 있었다. 현재 거대한 건물을 짓기 위한 기초작업이 한창이었다. 이곳에서는 진짜 발전소 규모의 장치를 이용해서 핵융합 에너지 실험을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12
- 회전하고 있는 소행성을 어떤 마술을 부려 붙잡는 걸까. NASA는 소행성을 담을 가로 15m, 세로 10m짜리 대형 비닐봉지를 준비했다. 이걸 마트에서 파는 쓰레기봉투처럼 차곡차곡 접어서 우주선에 실어간다. 소행성을 만나면 비닐봉지 안에 들어있던 외골격이 펴지면서 거대한 위용이 드러난다. 두께가 2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12
- 4차원을 평면 위에 표현할 수 없어 3차원 공간을 2차원으로 가정하고 시간을 표현하는 세로축을 더해 4차원을 나타냈다. 기존의 3차원 그래프로 4차원 개념을 설명한 것이다.민코프스키 공간에서의 원점은 현재 위치와 시간을 의미한다. 물체가 이동한다면 평면 위의 미래의 원뿔에 세계선으로 ...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과학동아 l201411
- 위턱의 가운데가 벌어져 있고 이 틈을 따라 세로로 작은 이빨이 늘어서 있어, 마치 입이 세로로 나 있는 것 같이 괴상하다. 이 이빨들은 위턱이 갈라지는 지점에서 시작해 입의 가장자리를 따라 촘촘히 나 있다. 마치 지퍼를 연상시키는데, 지금의 홍학이나 수염고래처럼 물속의 작은 생물들을 ...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11
- 나빌레라!코료 미우라 일본 도쿄대 교수는 1970년에 마루와 골이 번갈아 나타나도록 가로 세로로 주름을 접어 크기를 줄이는 ‘미우라 접기’를 고안했다. 천체물리학자였던 미우라 교수는 거대한 태양전지판을 우주로 안전하게 보내기 위한 기술을 연구 중이었다. 그는 접기 패턴을 연구하다가 아주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