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사진
d라이브러리
"
사진망원경
"(으)로 총 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축! 갈릴레이의 생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5
올해는 갈릴레이가 천체망원경을 만들어 최초로 천체를 관측한 지 400년 되는 해예요. 당시 갈릴레이의 망원경은 지름 3.7㎝에 배율이 3배밖에 되지 않았지만, 오늘날 허블 우주 망원경을 비롯한 망원경의 발달에 큰 기초를 세운 사건이었지요. 미국항공우주국에서는 갈릴레이의 생일인 2월 15일을 ... ...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나요?
과학동아
l
200905
태아가 모태에서 자라듯 아기별(원시별)은 성간분자운에서 자란다. 별이 태어나기까지 물질 유입, 원반, 제트 등 다양한 현상이 벌어진다는데….아기별원시별은 아직 별로 탄생하기 전 상태이므로 엄밀하게 비유한다면 ‘태아별’이란 표현이 맞지만 국내 천문학자들의 통상적인 표현에 따라 아기 ... ...
멤스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05
사회적으로 떠오른 중요한 이슈는 자연계 논술시험에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작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이 배출됐고 올해는 소형우주발사체 KSLV-1 발사와 제60회 국제우주대회(IAC) 개최 등 굵직한 우주산업이 계획돼 있다. 최근에는 우리 손으로 만든 MTEL(멤스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세계 최초 ... ...
[천문우주]포착!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다
과학동아
l
200904
지난 2월 24일, 위성 4개가 나란히 토성 앞을 지나가는 모습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는 광경을 찍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광경은 허블 광각 행성 카메라 2로 촬영한 12억 5000만km 떨어진 ‘토성 패밀리’의 모습이다.토성은 적도 부근에 원 ... ...
별은 몇 쌍둥이까지 가능한가요?
과학동아
l
200904
지난 1월 말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여덟 쌍둥이가 건강하게 태어나 화제를 모았다.별도 여러 쌍으로 태어난다. 별은 몇 쌍둥이까지 가능할까.‘지구의 어머니’ 태양과 달리 약 50%의 별들은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만큼 쌍둥이 별에 해당하는 쌍성이 많다는 얘기다. 쌍성은 서로의 질량 중심을 돌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04
과학과 수학을 잘하는 비법은 목차를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2009년 1월부터 ‘교과서에 길이 있다’ 연재를 물리, 수학, 화학, 지구과학, 생물 순으로 5회에 걸쳐 대형 브로마이드와 함께 제공한다. 이번 지구과학 편에서는 고등학교 지구과학Ⅰ에서 배우는 핵심 내용을 먼지를 따라 떠나는 여행의 형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03
하늘을 가르며 번쩍이는 번개. 해마다 열리는 기상 사진전에 어김없이 등장하는 단골손님이다. 하지만 언제 어디서 칠지 모르는 번개를 기다렸다가 카메라에 담는 일은 쉽지 않다. 번개가 친다는 사실을 깨닫고 카메라 셔터를 누르면 이미 번개는 온데간데없고 ‘우르릉’ 천둥소리만 요란하다.번 ... ...
소행성이 혜성으로 변신한다고요?
과학동아
l
200903
단단한 소행성이면 소행성이고 푸석푸석한 혜성이면 혜성이지.소행성이 혜성으로 변신한다니?태양계에서 무슨 둔갑술이라도 부리는 걸까.태양계에서 작지만 매운 고추가 바로 소행성과 혜성이다. 2억 5000만 년 전 지구의 생명체 80%를 없애 버렸으며 6500만 년 전에는 공룡을 멸종시켰다고 알려져 있 ... ...
[천문우주]베일 벗은 우리은하의 중심
과학동아
l
200902
우리은하 중심부가 베일을 벗었다. 지난 1월 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금까지 우리은하 중심을 찍은 사진 가운데 해상도가 가장 높은 사진을 공개했다.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의 근적외선카메라(NICMOS)로 찍은 이미지와 스피처우주망원경의 적외선카메라(IRAC)로 찍은 이미지를 합성했다. 그동 ... ...
2009년은 우주와 함께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2
2009년은 천문학과 인연이 많습니다. 갈릴레이가 천체망원경을 만든 지 400년이 되는 해이자 아폴로 11호의 달착륙 40주년이 되기도 하지요. 그뿐만이 아닙니다. 일식을 비롯한 보기 드문 천문 현상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국제천문연맹과 유네스코는 2009년을 세계 천문의 해로 선포했습니다. 우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