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패
훈장
기장
medal
펜던트
목걸이
팬던트
d라이브러리
"
메달
"(으)로 총 29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적 사고력으로 컨설팅하다
수학동아
l
201007
전산화를 위해 만들어진 곳이지. 이 곳에서 88서울올림픽 전산시스템 관리도 맡으셨어.
메달
집계, 선수관리, 경기장 시스템 등 올림픽 경기와 관련된 모든 시스템을 만드셨대.“1992년에 제임스 마틴과 인연을 맺었어요. 영국의 유명한 컨설팅 회사인 제임스 마틴은 한국에 지사를 내고 싶어 했죠.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 외부에 힘에 의해 변형된 물체가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성질. ➋스포츠총 14개의
메달
로 이번 동계올림픽에서 종합 5위를 차지한 대한민국의 숨은 공신은? 바로 탄소복합재료다. 탄소복합재료는 머리카락 굵기의 10분의 1도 안 되는 가는 탄소섬유에 플라스틱을 섞어 만든다. 여기서 플라스틱을 ... ...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1005
하고, 그 다음으로 목표 설정을 해야 한다.“김연아는 일곱 살 때 피겨 스케이팅으로 금
메달
을 따겠다는 목표를 가졌던 사람이야. 성공한 사람들은 공통점이 있어. 목표를 빨리 정하고, 집중해서 노력하고, 포기하지 않고 역경을 이겨내는 긍정적인 사고를 갖고 있어.”선생님의 이야기는 이어졌다 ... ...
은둔의 수학 영웅
수학동아
l
201005
요청에도 아무 대꾸를 하지 않은 채였다. 페렐만은 2006년 수학계의 노벨상인 ‘필즈
메달
’ 수상자로 결정됐지만 그조차도 거부하고 끝내 시상식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 인해 페렐만은 기이한 성격을 지닌 은둔의 수학자로 유명해졌다.지난 3월에는 마침내 클레이수학연구소가 페렐만이 푸앵카레 ... ...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4
금
메달
.친환경 올림픽답게
메달
도 재활용해서 만들었다니! 참여한 모든 선수들이
메달
을 더욱 탐내는 게 당연하겠지? 물론 나 김연아도 최선을다해 실력을 겨뤄 볼 거야.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의 뜨거운 관심과 응원을 부탁할게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04
동계올림픽의 명장면 중 하나는 한국의 이승훈 선수가 스피드스케이팅 1만m 경기에서 금
메달
을 거머쥐는 순간이었다. 그동안 유럽 선수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졌던 빙상 종목에서 아시아인이 우승한 사실도 놀랍지만, 불과 7개월 전까지만 해도 쇼트트랙 선수였던 이 선수가 1만m를 완주한 지 세 번 ... ...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과학동아
l
201003
응오 바오차오는 고등학교 2학년 때 국제수학경시대회에 참가해 베트남 사람 최초로 금
메달
을 받기도 했다. 점수는 만점이었다. 우리나라에서 경시대회를 준비하는 모습을 보면 모범답안을 외우는 데 급급한 학생들이 많다. 사실 경시대회처럼 이미 답이 알려진 것만을 잘 푸는 사람은 학자로 ... ...
숫자로 풀어 보는 바둑의 원리
수학동아
l
201003
중국에서 열리는 광저우아시안게임에서 바둑은 처음으로 정식종목이 됐다. 금
메달
이 3개나 걸려 바둑이 또 하나의 스포츠로 인정받은 셈이다. 이 글에서는 바둑을 전혀 모르는 사람도 바둑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바둑돌을 전기를 띤 알갱이로 비유하는 방식으로 말이다. ... ...
금
메달
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눈
과학동아
l
201002
종목마다 얼음 온도가 다른 이유스포츠 과학자들은 “동계 스포츠만큼 고도와 온도 조건에 영향을 받는 종목은 드물다”고 말한다. 얼음 품질과 고도 사이에는 묘한 ... 0m 아래에서 치러질 예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금
메달
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 ...
얼음 위에 새기는 스포츠 수학
수학동아
l
201002
때문에 무척 설레는 올림픽이 될 거야.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에서 전해올
메달
소식에 큰 기쁨도 누릴 수 있겠지. 스케이팅의 원리와 방법을 잘 안다면 더욱 재밌고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거야. 어때?! 스케이팅의 수학적인 묘미를 함께 찾아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