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등학교"(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로운 수학교육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수학동아 l201505
- 졸업 이후에 수학을 전혀 쓸 일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교육부는 이런 오해를 풀기 위해 고등학교 과정에 ‘실용수학’ ‘경제수학’ ‘수학과제탐구’와 같은 새로운 선택 과목을 만들기로 결정했습니다. 만약 응용수학에 관심이 있다면, 관련 도서나 관련 뉴스를 많이 읽고 어떤 과목이 자신에게 ... ...
- [생활] 도전과 재미가 무한대로 발산한다 용인외대부고 큐이디(Q.E.D.)수학동아 l201505
- 날, 수리논술부터 수학잡지 제작까지 척척 해낸다는 놀라운(!)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 수학동아리 ‘큐이디’를 만났다. 직접 수학잡지를 만든다는 큐이디에 수학동아 기자로서 묘한 경쟁심을 느끼며 학교로 들어섰다. 수학으로 노는 큐이디를 함께 만나 보자.약속시간보다 조금 일찍 ... ...
- [Hot Issue] 뇌진탕 위험으로부터 미식축구 선수를 구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05
- 시신을 기증한 전 프로 선수 79명 중 76명이 CTE를 앓았던 것을 확인했다. 준 프로와 고등학교 때까지 운동을 했던 선수를 기준으로 하면 128명 중 101명으로 80%에 가까운 수치다.CTE는 알츠하이머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머릿속에 충격이 누적되면 타우(tau) 단백질 농도가 높아진다. 타우 단백질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공학과 의학의 만남이 인공피부를 만든 거죠”과학동아 l201505
- Q 인공피부란 무엇인가사람의 피부가 갖는 ‘자극 인지 기능’을 그대로 흉내낸 소자입니다. 여러 센서를 장착해 온도는 물론 촉각, 통각까지 다 느낄 수 있어요. 온도도 36.5°C로 체온과 비슷합니다. 사람 피부처럼 부드럽고 자유로운 형태를 지닐 수 있도록 센서도 쉽게 구부릴 수 있게 개발했죠. ... ...
- [Life & Tech] 페이스북 ‘과고드립’ 운영자 인터뷰 “너드요? 저는 개성이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1504
- 출발이었다. 처음에는 같은 고등학교 친구들끼리 소소하게 놀았는데, 우연히 ‘전국과학고등학교학생연합회’ 페이스북 그룹에 홍보를 했다가 대박이 났다. 회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기 시작하더니 입소문을 타고 전국 과학고 학생들에게 퍼지기 시작했다.당시 전북과학고 2학년이던 박 씨도 이 ... ...
- [과학뉴스] 동아사이언스-한국과학창의재단, SW 교육 MOU 체결과학동아 l201504
- 다양한 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날 미래창조과학부는 초등학교 53곳, 중학교 90곳, 고등학교 17곳 등 전국적으로 160개 학교를 SW 교육 선도학교로 지정했다. 이들 학교는 앞으로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SW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된다 ... ...
- PART1. 고교생 100명이 묻고, 공대생이 답하다과학동아 l201503
- 사고하는 방법을 가르친다고 할까요. 아무튼 희망을 가지세요. _이은욱전 외국어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카이스트에 진학했습니다. 가서 보니 수학과 물리를 잘하는 과학고 친구들이 확실히 공부를 잘 하긴 하는데 못 따라갈 정도는 아니었어요. 수학을 너무 싫어하지 않고, 충분한 시간만 투자한다면 ... ...
- [수학특강] 전 세계 스타벅스 매장을 모두 가려면?과학동아 l201503
- 지원자가 8만 명에 이른다. 이들이 700개 이상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지원한다(고등학교가 아니라 교육과정이다. 1개 학교가 여러 교육과정을 개설한다). 한 사람이 12순위까지 지원 학교를 적어 낼 수 있다. 당신이 선량한 뉴욕시의 교육행정 담당자라고 해보자. 모두가 만족스럽게 학생을 배정하고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03
- 3D 프린팅은 늘 ‘제조의 민주화’ ‘제3차 산업혁명’이라 불린다. 그만큼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 그런데 이 말은 무언가를 놓치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이 환자의 생명을 살리고, 장애인의 고통을 덜어주는 능력도 아주 뛰어나다는 걸 말이다. 3D 프린터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 있는 사람들 ... ...
- PART2. 대기업 인사담당자의 솔직토크과학동아 l201503
- 배우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한두 해 익혀선 응용단계까지 이를 수 없다. 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대학원까지 긴 시간 동안 도제식으로 훈련해온 사람만 가능한 일이라는 게 기업의 냉정한 평가다. 안 교수는 “반면 인문학적인 소양은 책이나 사회경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쌓을 수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