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기
장기간
긴
오래
오랜기간
기드림
specialty
스페셜
"
장기
"(으)로 총 1,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앞으로 어떤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걸까. 이 소장은 “단기적으로는 원숭이에 집중하고,
장기
적으로는 지구환경연구에 주목할 생각”이라고 답했다. 원숭이란 ‘영장류를 이용한 단백질 독성평가’를 강화하겠다는 뜻이다. 기존의 화합물 독성평가는 실험용 쥐(모르모트)나 토끼 등을 쓴다. 하지만 ... ...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1.12.26
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농사를 지어보고 소비자라면 음식물을 낭비하지 말자. △
장기
적인 안목으로 R&D에 적극 투자하고 조급하게 성과를 바라지 말자. 이준원 녹색성장정책관은 -1985 서울대 농업교육과 학사 졸업 -1990 서울대 대학원 행정학 석사 -1996 미국 워싱턴주립대 농업경제학 석사 -1984 제28회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년~현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교실 교수 2003년~현재 고려대학교 연구소 한국인공
장기
센터 소장 2007년~2009년 고려대의료원 의무기획처장 2009년~2010년 보건복지부 HT포럼 공동대표 2009년~현재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 2010년~현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본부장 2011년~현재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장기
적인 펀딩이 뒷받침될 때 큰 제약회사로 성장할 수 있다. ▽정영춘 박사=혁신신약은
장기
전략이 필수다. 우리 회사는 약 하나 개발하면서 15년이 걸렸다. 15년이란 시간을 버틸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한국 기업은 이런 긴 시간을 기다려주지 않는 분위기다. 중요한 단계마다 투자자를 어떻게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경쟁’이 이뤄져야 한다. △생명과학 분야에 스타 과학자를 키워야 한다. △정부는
장기
적 안목으로 기초 연구에 지원해야 한다. 김동욱 단장은 -1989년~1991년 고려대 대학원 유전공학 석사 -1993년~1996년 일본 동경대 생명공학과 박사(일본 국비 유학생) -1997년~2007년 미국 예일대, 하버드 대, 남가주대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많이 채용하는 것 같다”며 “연구책임자들도 자신의 연구 성과를 관리하고, 적극적으로
장기
과제로 만들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정 원장의 포부는 안정된 연구비 지원으로 나타날 전망이다. 그는 “전체 연구비의 35% 정도를 외부 연구 과제를 맡아 해결하는 현재 연구과제중심운영제도(PBS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말했다. 그는 “학제 간 연구, 융합연구를 위해서는 좋은 기획이 나올 수 있도록
장기
적인 투자가 필요한데 기획 예산이 부족하다”며 “연구비 규모가 작으면 융합연구도 형식적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단장이 진행하는 첨단의학융합연구 프로그램은 이례적으로 연구비 5억을 지원해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 2004년~2005년 한양대학교 과학기술대학 학장 - 2005년~2007년 차세대성장동력 바이오신약단
장기
사업단 사업단장 - 2006년~2008년 교육과학기술부 국제화추진위원회 위원장 - 2011년~현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 위원 겸 생명복지전문위원회 위원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12
“과학기술 발달이 가속화·복합화·다원화되고 있어 정교하고 체계적인 연구기획과 중
장기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싱크탱크’를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원장은 그 역할을 정부 부처가 아닌 ‘출연연’이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공무원의 순환보직 관행이 바뀌는 것보다 출연연에 전문가 ... ...
“BT는 ‘버티기’의 줄임말…대기업이 힘 실어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07
회사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성백린 교수의 ‘이것만은 꼭’ △대기업의
장기
적 지원 필요 △특허나 논문 수보다는 지적재산권에 가치를 둬야 △신약 개발에는 선제 연구가 중요 성백린 교수는 -1973~1977년 서울대 약학대학 -1977~1979 KAIST 생물공학 석사 -1979~1982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