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의
논쟁
토론
의논
협의
논증
협상
스페셜
"
논의
"(으)로 총 1,445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시작점 역할을 한다. 선도형, 창조형 연구가 강조되면서 기초과학 육성에 대한
논의
가 활발해진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나 착각하면 안 될 것이 있다. 공학이 과학을 위해 존재하지 않듯, 과학도 공학을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 과학 지식은 그 자체로 사물에 대한 이해라는 측면에서 가치를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
KOITA
l
2013.10.18
‘진실’에는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19세기 통계학에서
논의
되었던 ‘황새와 아기의 관계’다. 당시 영국에서 통계적으로 황새의 개체수와 출생률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조사된 바 있었는데, 그렇다면 아기는 황새가 물어다 준다는 말인가? 은하수를 여행하는 ... ...
“나노 기술은 나무 ‘밑동’…투기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13.09.25
효율성·안전·유해성 등 여러 영역으로 나누어 2005년부터 나노 과학자와 공학자들이
논의
하고 있다”면서도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나노 연구의 시작점인 ‘측정’을 위한 장비나 기술이 미비하다”고 덧붙인다. ● 다양한 연구자들 IT 중심으로 모여야 “미국 오바마 정부에서도 주요 과제로서 ... ...
공공 R&D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KOITA
l
2013.09.10
비해 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탈 추격형 기술개발에 대한
논의
가 활발하다. 이제는 경제부흥을 이뤄내기 위한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의 경제 패러다임 변화와 같이 과학기술도 그간의 연구성과, 투입 중심의 R&D 지원 및 성과창출 보다는 성과 중심의 R&D 지원으로의 ... ...
창조적 지역발전체제 구축을 위해 지역기술혁신역량 총결집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기관장이 참여하여 지역 특화분야 발굴, 기관 간 연계를 통한 시너지 창출 방안 등을
논의
하게 된다. 미래부는 향후 지역별협의회를 지자체별로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이들 협의회를 통하여 도출한 지역별 산·학·연 연계 강화방안 등 정책제안을 수렴하여 금년 중에 세부 실행계획을 수립할 ... ...
“급변하는 환경 반영한 새로운 나노 정책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8.22
14개국이 주축이 되고 미국과 일본 등도 참여하고 있다. “전문가들이 모여서 기술적
논의
를 하는 자리지만 결국 규제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지구온난화 때도 그랬거든요. 우리나라도 나노 안전 분야의 정책을 강화해서 선제적인 대응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 제품을 ... ...
인간게놈이 양자컴퓨터를 만났을 때
동아사이언스
l
2013.08.20
- D-Wave 제공 양자계산의 가능성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이론물리학자들 사이에서
논의
돼 왔고 알고리듬도 여럿 개발됐다. 문제는 이를 구현할 ‘실물’ 양자컴퓨터가 없었던 것. 따라서 양자계산은 튜링머신처럼 관념의 영역에 속했다. 양자계산의 원리를 잠깐 소개하면(물론 필자도 이해하지는 ... ...
미래 농산업
KOITA
l
2013.08.20
미래산업으로서 한국농업의 성장가능성과 지향해야 할 새로운 지평(地平)에 대하여
논의
하고자 한다. 산업화, 개방화 과정에서 진행된 한국농업의 위축한국농업은 농림어업 실질 생산액 기준으로 지난 30년(1970~2010)간 연평균 2.7%씩 성장해 왔다. 이러한 성장률은 같은 기간 동안의 국민총소득(GNI) ... ...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아홉은 병에서 완전히 회복된다. 그러다보니 FDA에서 나서서 분변요법의 표준화 방안까지
논의
하게 된 것이다. 기사를 보면 여러 병원에서 시행한 임상결과가 표로 정리돼 있는데 방법이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 메이요클리닉에서는 대장내시경을 이용해 세상에 나온 지 6시간이 안 된 ‘신선한’ ... ...
'현실'이 있어야 하는 '증강'현실
KOITA
l
2013.07.10
팽배한 21세기. 그러나 사정을 들여다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 웨어러블 기기를 둘러싼
논의
의 중심에는 언제나 ‘기술’이 있었다. 19세기의 군인들은 몸에 지닐 수 있게 하느라 정확성을 희생해서 크기를 줄인 기계에 대한 신뢰가 없었다. 아무리 입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본질이 기계인 이상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