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분별
분해
카테고리
범주
분할
지류
뉴스
"
분류
"(으)로 총 2,441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종 코로나 공식 명칭 '코로나-19'로 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2.12
제안했다고 밝혔다. 소우미야 스와미나탄 WHO 수석과학자는 “바이러스의 이름 자체는
분류
학을 연구할 바이러스학자들이 지었지만, 질병 이름은 일반인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이름으로 짓는 게 중요해서 이번 명칭으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 동안 병원체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그에 의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인간은 어떻게 잠의 세계로 이끌릴까
2020.02.11
운동과 기억, 감정 등 여러 기능에 관여한다. 연구자들은 생쥐의 상태를 네 가지로
분류
했다. 이동하는 상태와 제자리에서 몸을 움직이는 상태, 거의 움직임이 없지만 깨어 있는 상태, 잠든 상태다. 각 상태 및 상태가 바뀔 때 뇌파를 측정해 활동도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정적으로 깨어 있다가 ... ...
신종코로나 '2차전파 발생' 8개국 여행이력 의료기관에 제공(종합)
연합뉴스
l
2020.02.11
수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와 함께 의료진에게 알리는 '중국 외 국가 의사환자
분류
시 참고사항'에서 "2차 전파 감염사례가 확인된 국가를 중심으로 여행 시 노출력 및 임상 증상을 고려해 의사환자 여부를 판단해주시길 바란다"고 전하기도 했다. 다만 중국 외 8개국 해외여행 이력을 ... ...
[팩트체크]독감과 감기, 신종코로나 어떻게 구분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방문 이력이 있거나 원인불명의 증상이 발생하면 환자 상태에 따라 의사가 의심환자로
분류
하기로 하면서 감기나 독감과 비슷한 증상이 발현하기만 해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의심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신종 코로나는 증상이 빠르게 나타나는 독감과 달리 증상이 천천히 나타나는 ... ...
전문가들 "일상에선 신종 코로나 공기 전염 위험 낮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바로 옆자리에 앉았거나 식사를 함께 하는 등 아주 가까이에 있었던 사람들만 '접촉자'로
분류
해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이유다. 반면 공기 중 감염은 바이러스가 미세한 입자(에어로졸) 상태로 공기 중에 머물면서 2m 이상 먼 거리까지 전해져 다른 사람에게 전해진다. 만약 청췬 부국장의 주장이 ... ...
"25번환자 '잔기침' 며느리에 감염추정…경증 때도 전염되는듯"(종합)
연합뉴스
l
2020.02.10
아들(26번 환자. 51세 한국인)이 의료기관을 찾아 검사를 받았고, 부부는 오후 확진자로
분류
돼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에서 격리 치료를 받고 있다. 26번, 27번 환자 부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중국 광둥성에서 지냈다. 광둥성은 중국 후베이성 다음으로 가장 많은 확진자가 발생한 곳이다. ... ...
"3시간 뒤에 우리 동네 비올까?" AI 예보관에게 물어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머신러닝의 일종인 합성곱신경망(CNN)인 ‘유넷(U-NET)에 넣어 학습한다. 유넷은 이미지
분류
에 널리 쓰이는 AI 기술인데 구글은 이를 기상 예측에 맞게 바꿨다. 브롬버그 총괄은 “미국이 워낙 넓기 때문에 전국을 가로세로 각 256km 단위로 쪼갠 뒤 2분 간격으로 자료를 얻어 각 부분의 강수량을 ... ...
[과학촌평] 학문 다양성 지탱하는 '두뇌한국'을 기대하며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신설했다. 여기에 기타중점에 속해 있던 분야를 공학과 비공학 분야로 나눠 각각 따로
분류
했다. 선정도 각각 하도록 했고 선정되는 교육연구단 수도 다소 늘려 적어도 하나의 분야에서 한 개 이상의 연구단은 선정될 수 있도록 했다. 교육부의 고민도 컸던 것으로 보인다. 미래인재양성사업의 ... ...
“신종 코로나 ‘슈퍼전파자’ 존재 가능성 있다...병원내 감염도 유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이들을 감염시킨 것으로 파악된 환자는 처음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의심환자로
분류
되지 않았다. 복부 통증으로 수술 병동에 옮겨졌고 수술 병동에 있었던 4명의 다른 환자를 감염시킨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이 환자가 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때처럼 ... ...
[프리미엄 리포트]어린이 3명 중 1명은 '수면부족'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2.08
세계보건기구(WHO)는 수면 부족의 주요 원인인 야간 근무를 ‘암의 유력한 원인’으로
분류
했다. 잠을 충분히 푹 자려면 스마트폰부터 재워라 김혜윤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수면 클리닉 교수는 "성인뿐 아니라 초등학생에게도 수면 무호흡증이나 코골이, 이갈이 등 수면 장애가 발생할 수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