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즐기고 체험하는 온라인 수학 축제, 폴리매스데이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제1회 폴리매스데이’를 아주대학교에서 열었습니다. 폴리매스데이는 수학동아가 201
7
년부터 온라인에서 진행해 온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한자리에 모여서 체험하는 수학 축제로, 이날 초중고생 335명이 수학 문제를 힘을 합쳐 함께 푸는 뜻깊은 경험을 했습니다. 폴리매스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던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GROUPS ANALYZED BY A COMPUTER) 남자 버전 파트 1’이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유튜브 동영상은 8월 1
7
일 현재 조회수 155만4019회를 기록했습니다. 채널 설명에는 ‘K팝의 톱 보이그룹에서 춤이 서로 얼마나 일치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머신러닝과 수학을 사용했다’고 적혀 있습니다. 인공지능(AI)으로 군무 ... ...
논란 많은 러시아 백신 집중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했다. 현재 코로나19 휴먼 챌린지 참가자를 모집하는 사이트인 ‘1day sooner’에는 15
7
개 국가에서 3만4800여 명이 참여 의사를 밝힌 상태다. 다만 휴먼 챌린지시험의 부정적인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 일단 사람을 고의로 바이러스에 감염시킨다는 점에서 윤리적인 논란이 따르고 그 결과 또한 장담할 수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뚫어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2016년부터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등
7
개 유럽 연구기관과 시카고대 등 5개 미국 대학 소속 과학자들은 유리의 비밀을 밝히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무질서한 입자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비단 유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생물체 내 ... ...
절규하는 그녀, 심장마비로 사망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미라 조직의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할 수 있다. 앞서 소개한 경북 문경에서 발견된 1
7
세기 미라의 사망 원인이 죽상동맥경화증이라는 결정적인 증거도 이 과정에서 나왔다. 미라의 몸속 기생충을 분석해 질병을 진단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대개 미라의 장에 남아 있는 대변을 분석한다. 다른 조직과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분석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
월 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b2891스트레스는 현대인의 적으로 불릴 만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평소에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면 면역 시스템을 저하하고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1회] 수학미식회, 데이터 맛집을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배치했습니다.그 결과 112 신고 건수가 2018년 같은 기간 동안 발생한 666건보다 23.
7
% 감소한 508건으로 나타났습니다. #데이터로 #외톨이_방지 #사이람×학교 친구 관계도 데이터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특히 소외되는 학생들을 찾아내 왕따나 학교폭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더 생겼다. 폴라스턴호가 정박한 해빙이 예상보다 빨리 남쪽으로 이동해 급격히 녹았고
7
월 30일 여러 조각으로 부서진 게 확인됐다. 극지연구소는 해빙이 붕괴할 가능성이 파악된 이 시기부터 위성을 이용해 폴라스턴호를 옮길 만한 안전한 해빙 후보지를 찾고 있다. 8월 10일 현재 폴라스턴호는 ... ...
푸드파이터의 폭식, 훈련하면 늘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대회에는 유리할지라도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200
7
년 네이선 핫도그 먹기 대회 선수들의 위 크기 변화를 형광 투시 기법으로 관찰한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연구팀 역시 “폭식이 반복될 경우 포만감을 느끼는 능력이 떨어진다”며 “(폭식을 반복하면) 체중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확보했다. 특히 확보된 DNA 염기서열 조각들은 절반 이상이 염기
7
만 개 이상으로 구성된 매우 긴 조각들이었다. 가장 긴 DNA 염기서열 조각의 길이는 염기가 100만 개에 달했다. 연구팀은 나노포어 시퀀싱 기술로 얻은 긴 DNA 염기서열 조각과 NGS 기술 등을 활용해 얻은 짧은 DNA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