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첨예
급진
선구
끄트머리
앞장
엉덩이
d라이브러리
"
첨단
"(으)로 총 2,809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한다.협박이나 서류 도난 등 점점 흉악한 사건들이 늘어나면서 요즘 형사들은 좀더
첨단
기술을 이용해 편지에 화학물질을 묻히지 않고도 지문을 드러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레이저나 자외선 램프, 또는 ALS(Alternate Light Source)라는 특수보안경 장치를 이용해 편지에 묻은 지문을 검사할 수 있기 ... ...
로봇이 청소해주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자칫 부유층의 과시성 상품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부터 만들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첨단
제품과 마찬가지로 가격은 점점 저렴해질 것이다. 결국 현재 각 가정마다 개인용 컴퓨터가 있는 것처럼 불과 10-20년 후에는 모든 가정에 로봇이 보급돼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사회가 펼쳐질 전망이다.로봇 ... ...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상황인데, 오히려 개발이 제한된 국립공원이 우주센터 부지로는 적절한 셈이다. 그러나
첨단
기술의 집합체인 우주센터가 청청지역의 자연을 심각하게 손상시킨다면 또 다른 문제다. 다행스럽게 우주센터는 자연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건립된다.1백50만평의 부지 중 시설부지는 8만평에 불과하다. ... ...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덩어리, 예상보다 낮은 밀도의 외핵과 탐사선의 외부에 위치한 선실 분리장치, 그리고
첨단
지진병기 ‘데스티니’를 가동시켜 등장인물을 몰살시키려는 군인 정신 투철한 장군 등. 이런 에피소드들은 대원들을 하나씩 희생시켜 재난영화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장치들이다. 물론 이런 에피소드들은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맛에 부응하는 과일 선별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과일을 손상시키지 않고 맛을 알아내는
첨단
비파괴 기술이 최근 주목받는 이유다.혀 대신하는 센서‘맛’(taste)은 사람이 혀끝으로 느끼는 추상적인 감각으로, 명확하게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맛은 관련된 몇가지 인자로서 그 개념을 가늠할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불가피하다. 나아가 우주라는 극한 환경에서 조립만 아니라 24시간 보수나 수리도 가능한
첨단
로봇이 필요하다. 로켓이나 로봇의 과학기술이 앞으로 얼마나 발전하느냐가 실용화의 관건인 셈이다.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이용한 우주태양광발전의 또다른 난관은 환경 유해성이다. ... ...
4 화석연료 대신하는 미래 청정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큰 분야에 한정된 재원을 집중 투자하고 있다. 장기간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첨단
미래 기술에 대해서는 공동연구방식을 취하면서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대체에너지분야의 지원은 단위기술 위주의 기술개발 형태로 이뤄졌다. 그래서 기술개발결과가 보급돼 적용될 수 ... ...
사이버 세계 수호하는 디지털 수사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교묘해지는 사이버 범죄를 단속하기 위해 사이버 세계에서도 일반 수사와 마찬가지로
첨단
법의학 기법이 동원되고 있다. 이를 ‘컴퓨터 포렌식’(Computer Forensic), 즉 컴퓨터 법의학이라 한다. 최근 컴퓨터를 이용한 사이버 범죄는 예전처럼 해커의 단순 장난 수준을 넘어 의도적으로 특정인 또는 ... ...
보석 일상생활에서
첨단
기기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분산시키는데 다이아몬드가 최고보석으로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다이아몬드도
첨단
과학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다이아몬드는 경도가 높다는 특성 외에도 많은 특별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상온에서 열전도도는 어떤 물질보다 높은데, 구리 열전도도의 다섯배나 될 정도다.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개발과정에 참여했는데, 이는 갤렉스가 우주관측위성이 아니었다면 접근하기 힘든 NASA의
첨단
기술을 이전받았다는 얘기다. 흥미롭게도 현재 김 교수는 구경 30cm짜리 갤렉스의 축소판을 국내에서 제작중이다. 앞으로 기회만 된다면 이것을 우주에 띄워볼 수 있지 않을까. 아니면 갤렉스보다 더 큰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