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d라이브러리
"
지면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썰렁홈즈의 만우절 가짜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금세 구별할 수 있다.이를 뛰어넘어 보는 각도에 따라 색깔이 점점 옅어지거나 점점 진해
지면
서 색깔이 달라지는 잉크도 있다. 기존 색변환잉크는 잉크입자들이 가로로 누워 있어 한 번에 한 색깔씩 모두 두 가지 색깔이 보이게 되는데, 새로운 잉크는 잉크입자들이 세로로 서 있어 보는 각도에 따라 ... ...
자기조립으로 에펠탑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부품들을 집어서 맞추는 방식을 사용했다. 하지만 부품이 마이크로 수준으로 작아
지면
로봇으로도 감당하기 힘들다. 최근 서로 들어맞는 초소형 부품을 이용한 자기조립(self-assembly) 기술이 개발됐지만 조립효율이 너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권 교수팀은 로봇이 직접 부품을 이동시키는 기존 방법과 ... ...
유방 흔들림 잡아줘 쿠퍼 인대 보호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수직 성분) - 0.208m/s(-는 위 방향)-발이
지면
에 닿았다가 떨어지는데 걸린 시간 0.152초-발이
지면
에 닿았다가 떨어질 때의 가속도는 가슴이 흔들리는 가속과 같다고 가정0.152초 동안 속도 변화가 0.883m/s였으므로 가속도 a=0.883/0.152=5.809m/s2이를 F=ma에 대입하면F=0.250 x 5.809 ...
2.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질량의 근원을 찾기 위해서다. 쿼크-글루온 플라스마는 온도가 내려가거나 밀도가 낮아
지면
쿼크들이 다시 뭉쳐 양성자나 중성자를 만든다. 앨리스 실험에서 이 과정을 포착한다면 지구 질량의 99.9%를 차지하는 양성자와 중성자, 나아가 모든 물질의 질량 근원을 설명하는 새로운 단서를 찾을 수 ... ...
전자의 '이상행동'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예상했다. 전자들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는데 전압을 높여 도선에 흐르는 전자가 많아
지면
전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커진다. 따라서 전자가 서로의 위치를 파악하기 쉬워져 입자성이 커지는 원리다.그러나 심 교수팀의 연구에서는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왔다. 반도체에 사용되는 가는 도선의 ... ...
북극빙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형성시킨 전자회로의 발진기 수정은 압력이 가해
지면
전압이 발생하고, 또 전압이 가해
지면
변형이 생긴다는 압전변환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기계진동자로서 극히 안정된 고유진동을 한다 압전진동자(壓電振動子)의 하나이며 수정 결정에서 일정한 방위(方位)로 끊어 만든 판이나 막대 초음파의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뇌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은 식욕중추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므로 그 분비량이 적어
지면
식욕도 떨어진다.반면 잠도 못 자는데 살이 찐다는 사람들이 있다. 잠을 못 자면 그렐린의 농도가 높아져 식욕이 당긴다. 2008년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패트릭 스트롤로 교수는 20대 남성 12명을 이틀 동안 ... ...
뜯어봅시다 닌텐도 Wii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방향을 알아낸다. 전기용량(C)은 두 전극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지면
커지고 거리가 멀어
지면
작아진다. (C= , 가속도계의 전극 면적(S)과 유전상수(ε)는 일정). 좌우뿐 아니라 앞뒤, 위아래 6방향의 가속도를 같은 원리로 측정한다.4. 센서 바(Sensor bar)센서 바의 양 끝에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LED)가 ... ...
미래로 씽씽~! 첨단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보통 하이브리드자동차는 천천히 달릴 때는 모터를 사용합니다. 그러다 속도가 빨라
지면
힘이 더 센 엔진을 이용해 달리죠. 멈춰 있을 때는 엔진을 끌 수 있어 연료를 낭비하지 않습니다.하이브리드자동차는 같은 양의 연료로 가솔린자동차보다 50% 이상 오래 달릴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오염물질을 ... ...
해조류가 스트레스 받으면 구름 낀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토양 입자가 구름의 응결핵으로 사용된다. 여기에 켈프에서 나온 산화요오드까지 더해
지면
평소보다 응결핵이 많아져 구름이 잘 만들어진다. 이때 생성된 구름은 일반적인 구름보다 훨씬 두꺼워 햇빛이 구름을 잘 통과하지 못하고, 구름의 ‘수명’도 길다. 흐린 날씨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셈이다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