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 1지"(으)로 총 3,580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세상섭섭박사 할아버지! 제가 매번 말씀드렸죠? ... 홀로그램이지만 실제랑 거의 똑같거든요. 엇, ... 섭섭박사 3세예요. 여긴 실제와 똑같이 체험할 수 있게 ... 만나면 센서가 반응해 실제와 똑같은 느낌을 우리에게 ... 김에 물어볼 게 있어요. 제가 책을 읽다가 희한한 걸 ... 뒤, ...
- 애기장대가 알려 준 장수의 비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다녀온 뒤 건강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 닥터 그랜마예요. 이제 나이도 있고, 날이 추워지니 몸 여기저기가 쑤시고…. 천년만년까지 바라진 않지만 ... 뛰어나지요. 네덜란드 플랜더스생명공학연구소와 겐트대학교의 공동 연구팀이 제 뿌리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식물이 끊임없이 세포를 ... ...
- 자석과 부력으로 오르락내리락 정신없이 바쁜 자석 바람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자기장은 넓어지지. 또 자기장 안에서 자기력은 금속이나 자석을 제외한 여러 가지 물질을 통과할 수 있어. 플라스틱이나 물, 고무, 유리, ... 외르스테드가 알아냈지요.2 네오디뮴 자석으로 바람개비를 만들어라!앗! 제 주머니 속에 강력한 네오디뮴 자석이 들어 있었군요. 언제 넣어 놓으신 거예요~ ... ...
- 세계 최고의 요리사, ‘미가글 이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푸드코트?”미션1 무시무시한 딸기잼을 피하라!“캬캬캬, 이제 세상은 우리 것이다! 모든 음식이 너희를 지배하리라 ... 군단이 다가왔다. 매운맛을 보여 주기 바로 직전. 갑자기 문제가 발생했다. 화장실에 다녀온 떡볶이 병사들이 자기 자리를 못 찾고 있는 것.미션3 숯퍼맨 vs 스파게티맨더 큰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전달한다.★ 종 단위로 진화한다.지구의 생명 - 언제, 왜, 어떻게지구에 생명이 탄생한 순간이 ... 애초에 외계생명체일 수도 있다는 이야기지요. 제가 할 수 있는 이야기는 여기까지예요. 운석은 보통 ... 단단한 지각에는 물이 흘렀던 흔적도 있거든요. 제 목적도 화성에서 생물체의 흔적을 찾고, ... ...
- 큐리오시티, 화성에서 물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문제가 생긴 지구방위 그랜파를 이용해 자금을 확보하나…, 했는데! ... 걔!큐리오시티! 셀카 그만 찍고 내 부름에 응답하라!누가 들으면 제가 화성에서 내내 셀카만 찍는 줄 알겠어요. 어린이 여러분, 오해 ... 때문에 사진을 찍으려면 셀카 밖에 방법이 없답니다. 그리고 제가 찍어 보내는 사진은 ... ...
- 세상에서 가장 황당한 연구, 2013 이그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올해는 어떤 황당한 연구가 상을 받을지 기대하세요. 하하~. 자, 이제 모두 배꼽을 꽉 잡으시기 바랍니다. 너무 웃다가 빠져도 책임 못집니다~ ... 사람들을 웃게 만들지만 곧 뭔가를 생각하게 만드는 연구거든요.실제로 개구리를 자석의 힘으로 공중에 뜰 수 있게 한 연구로 2000년에 ... 물에 빠지지 ...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북극 얼음 면적이 60%나 늘었다는 내용의 기사 때문이에요. 어제까지만 해도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고 있다는 뉴스들이 ... 미치는 건 얼음 면적보다 얼음 두께라고 들었어요. 아무튼 제 생각엔 이번 보도에 다들 그렇게 큰 신경 쓰지 않아도 될 ... 찾아낸 업적 때문이지요.약 260만 년~1만 년 전까지 ... ...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거 알지? 그래서 ‘제9의 예술 만화’를 좀 더 ... 창의력을 높여 주고 상상을 실제로 이룰 수도 있게 해 준단다 ... 수 있겠냐는 반대도 많았지만 제가 좋아하는 것이고, 하면 ... 만화의 역사도 알아보자! 제9의 예술, 다른 예술을 ... 다맹글라니’가 나타나 제9의 예술 만화로 제 ...
- 백두대간에는 신갈나무도 있고, 하늘다람쥐도 있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속하는 참나무 가운데 상수리나무 다음으로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라서 그래요. 제 열매가 바로 ‘다람쥐의 점심 도시락’으로 유명한 도토리랍니다.철쭉, 당단풍나무, 소나무, 분비나무 같은 나무들도 많이 찾아볼 수 있어요. 1970~80년대 국토 녹화 사업 때 들여온 일본잎갈나무도 흔하게 볼 수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