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말"(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지구는 푸르다. 이 얼마나 멋진가. 1961년 4월 12일 유리 가가린은 역사상 처음으로 우주선을 타고 지구를 내려다보며 이렇게 말했다. 그로부터 50년이 지났다. 그 동안 사람은 달에 다녀왔고, 수많은 우주인이 인류를 우주에 더욱 가깝게 이끌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08년 처음으로 우주인을 배출했다. ... ...
- Part 4. 미국 수학의 달은 4월수학동아 l2011년 04호
- 교수님, 도움 말씀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학과 과학이 다르다는 것은 이제 조금 알 것 같네요. 솩 대변인, 그런데 수학과 과학이 다르다고 해서 수학의 달이 필요한 건 아니잖아요. 도대체 왜 필요한 겁니까?“무릎팍 도사님은 수학하면 어떤 생각이 떠오르나요? 건방진 도사, 올밴은요?”그야, ‘ ... ...
- Part 6. 고민해결! 수학대회를 열어라!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수학의 고민은? 과학의 달은 있는데 수학의 달은 왜 없는 건가요? 드디어 고민해결!수학의 달을 만들고 싶다면 수학대회를 열면 된다!국내 최초의 수학교양잡지 ‘수학동아’ 를 보는 독자들이라면 수학의 달 지정을 모두 원할 것이라고 봅니다. 따라서 독자들과 함께 수학의 달을 만들어 줄 때까지 ... ...
- Part 3. 삼각형으로 지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작은 것부터 도전해 보기로 했다. 우선 내가 사는 동네를 알아야 우리나라를 알고, 우리나라를 알아야 세계지도를 그릴 것 아닌가.마음의 준비를 단단히 하고, 매의 눈으로 주위를 둘러봤다. 가장 먼저 익숙한 학교가 보이고, 대형마트, 버스가 다니는 큰 도로, 조금 멀리 있는 산도 보인다.오늘의 최 ...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손목시계는 1~2분 정도 틀려도 친구와의 약속시간을 지키는데 큰 문제가 없다. 스포츠 시합을 할 때는 100분의 1초까지 시간을 재는 정밀한 시계가 필요하다. 교통관리시스템의 시간 오차는 1000분의 1초, 휴대전화와 기지국은 10만분의 1초보다 작아야 한다. 인공위성항법장치(GPS)는 10억분의 1초 단위 ... ...
- 수준별 수학 교과서가 도입되는 이유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최근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가 2014년부터 수준별 교과서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2009년부터 올해까지 3년 동안 교과서가 차례로 바뀌고 있는데, 왜 또 교과서를 바꾸려는 것일까. 수준별 교과서는 어떤 것일까.수학 학습을 구성하는 3대 요소는 학생, 교사, 수학 지식이다. 우리나라 학생이 ... ...
-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전국 고등학교에 별종 과학 교과서가 떴다. 1학년들이 3월부터 배우기 시작한 융합형 과학이다. [힘과 운동] [원자와 분자] 등 익숙한 개념은 온데간데 없고 빅뱅과 생명의 진화, 현대문명을 중심으로 파격적인 구성이 펼쳐진다. 지금까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중심으로 과학을 배웠던 사람들은 ...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인공태양’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는 과학계에서 종종 골리앗을 이긴 다윗으로 비유된다. 선진국보다 30년이나 뒤늦게 개발을 시작했는데도 어느 곳보다 먼저, 가장 뛰어난 고성능 핵융합 연구장치를 완성했기 때문이다. KSTAR는 전 세계 핵융합학자들이 가장 실험해보고 싶은 실험 ...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구제역과 AI 대책의 일환으로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가축 매몰 작업이 침출수와 가스등을 발생시키며 추가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시간에 쫓겨 과학적인 조사나 연구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시행돼 예견된 2차 피해를 불러왔다는 비판이 지배적이다. 무엇보다 치명적인 가축전염병의 병원균을 지닌 ...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지난 해 여름, 경북 경주 읍천 해안에서 부채를 활짝 펼친 듯한 주상절리가 발견됐다. 그동안 해안가에 주둔했던 군부대가 철수하면서 바깥 세상에 드러난 것이다. 주상절리 하면 흔히 떠올리는 육각기둥의 모습이 아니라 더욱 신비하다. 그런데 국수처럼 휘어지고 대도시 마천루처럼 빛나는 주상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