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측"(으)로 총 3,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수 있게 됐다(이 문답은 아직은 영어로만 가능하다). 음성과 이미지는 물론 사용자 예측과 통번역까지, 딥러닝이 활용되지 않는 분야가 없을 정도다. 구글의 프로그래머 제프 딘은 “50개가 넘는 응용 프로그램에 딥러닝을 사용 중”이라고 밝혔다.딥러닝은 기존 인공지능이 가장 어려워하던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재난 로봇로봇공학자들 사이에선 재난, 또는 구조용 로봇은 ‘인간형’이 될 거라는 예측이 많다. 우리 주변의 공간은 사람이 활동하기 편하게 만들어져 있다. 계단이나 사다리를 오르내리고, 문고리를 손으로 돌려 열고, 자동차나 비행기를 타고 이동하고, 의자에 앉아 생활을 한다. 이런 장소에서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뉴턴 이론의 틀 안에서 특이한 가정과 계산을 통해 예측한 것과 일치한다. 따라서 실제 예측값은 세 가지 중 하나였다. (1) 기존 뉴턴역학이 맞을 경우(어긋남이 없음) (2) 뉴턴-졸트너가 맞는 경우(0.87초) (3)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맞는 경우(1.6초).관측결과 정밀도가 높은 소브럴 관측팀의 ... ...
- 내가 뭘 좋아할지 소프트웨어에게 물어 봐!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시대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소프트웨어는 어떻게 내가 좋아할 만한 물건을 예측하는 걸까.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으로 두 가지가 있는데, 우선 첫 번째는 ‘나랑 가장 성향이 비슷한 사용자’를 찾는 것이다. A라는 사람이 어느 웹사이트에서 상품 1과 상품 2를 샀다고 하자. B는 상품 1, 2뿐 ...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거라고 예상했다. 나이지리아 물리학자 모세 이미티어 박사 연구팀은 신속하게 번개를 예측하는 방법을 수학적으로 찾아내 지난 2014년 국제환경시스템과학공학컨퍼런스에서 발표했다.번개가 칠 때의 대기는 음전하와 양전하가 뒤섞여 있는 플라스마 상태다. 연구팀은 구름에 있던 전하가 땅으로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직접 총을 넣고 쏜다는 상상해 보기로 해요. 구멍으로 바깥을 본 다음, 적의 위치를 예측해 총으로 쏠 수 있는지 여장 너머로 확인해 보세요. 분명한 차이가 느껴지나요?경사각이 큰 가운데 구멍으로는 성벽 바로 아래까지 다가온 적을 맞출 수 있는 반면, 경사각이 작은 양쪽 구멍으로는 성벽에서 ...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개발했던 건국대 수학과 정은옥 교수는 “데이터에 근거한 수학 모형은 감염 확산 예측과 대응, 그리고 정책에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중요한 도구다. 전염병 대유행이 끝난 뒤에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해야 하지만 수학 모형의 중요성을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고 토로했다. 메르스를 ... ...
- INTRO. 가상현실 눈앞으로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달러(2 조 5000억 원)에 인수했다. 앞으로 가상현실기기가 스마트 폰처럼 대중화될 것이란 예측에서 나온 과감한 투자였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을 꽂아 사용할 수 있는 기어VR(오른 쪽 HMD)을 출시했고, 소니·구글·HTC·마이크로소프트 같은 IT기업들도 앞다퉈 가상현실기기 제작에 뛰어들고 있 다. ...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비슷한 수준까지 도달했다. 추세만 따지면 조만간 실리콘의 효율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가격도 실리콘보다 3분의 1 가량 저렴하다. 실리콘이 처음으로 제대로 된 적수를 만난 것이다. 페로브스카이트의 단점은 안정성이다. 이제 본격적인 전쟁이 시작된다. 전쟁의 승자는 ...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큰 관련이 없는 수학적인 이론으로 여겨졌고, 사람들은 아인슈타인의 이론이 실질적인 예측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로 일반상대성이론은 제 발로 선 훌륭한 물리학 이론으로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했다.김재영_zyghim@kaist.ac.kr서울대 물리학과에서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