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킹앤카] 사랑하는 학교야~ 반가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
[융복합 파트너 @ DGIST] 줄기세포로 만든 ‘미니 장기’로, 암 표적 치료법 찾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일단 직접 한 번 보시겠어요? 현미경으로 보이는 동글동글한 덩어리가 바로 폐 오가노이드입니다. 줄기세포로 만들었죠.”정영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는 직접 개발한 오가노이드를 보여주며 설명을 시작했다. 오가노이드는 특정한 줄기세포를 3차원으로 배양해 만든 ... ...
[수학뉴스] 100년 묵은 내접 사각형 문제 영상통화하며 푼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그린(
사진
) 미국 보스턴대학교 수학과 교수와 앤드루 롭 영국 더럼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100년 넘게 풀리지 않았던 난제의 해법을 제시했습니다. 두 사람은 코로나19로 만나기가 어려워지자 영상통화를 하며 문제를 풀었습니다.두 수학자가 주목한 난제는 1911년 독일 수학자 오토 퇴플리츠가 처음 ... ...
USA┃Mars 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화성 표면도 촬영한다. 표면에서 가까운 만큼 궤도선에서 찍는 것보다 훨씬 선명한
사진
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제뉴이티는 로버의 주변을 순찰하며 로버를 최적의 경로로 이끄는 역할도 맡았다. 1958년 NASA는 미국 최초의 인공위성 ‘익스플로러’를 발사하는 데 성공했고, 1996년에는 ... ...
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여러 곳에 설치해 두고 유성우를 포착한다. 물체가 포착됐을 때 여러 군데에서 찍은
사진
을 조합하면 운석의 궤도를 파악해 낙하지점을 찾을 수 있다. 심지어 궤도를 계산하면 출신 행성도 알 수 있다.그런데 현재 발견된 운석 대부분은 남극이나 사막에서 발견되 것들이 많다. 운석이 잘 떨어지는 ... ...
[진로체험] 항공우주 영상 수학으로 꿰뚫어본다! 항공우주 영상 분석 엔지니어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확인할 수 있고, 소나무 재선충 같은 병충해가 퍼지는 것도 감시할 수 있죠. 최근에는
사진
뿐 아니라 동영상에서 사람을 찾고, 추적하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웨이블릿 함수 외에 또 어떤 수학을 쓰나요?사실 영상 처리는 모두 수학이라고 할 수 있어요. 최근에는 영상 속에 있는 특정 ... ...
[매스펀랜드] 함께 풀고 싶은 문제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매스펀랜드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매스펀랜드에서는 ‘함께 풀고 싶은 문제’에 올라온 문제 중에 참신하고, 재밌고, 엉뚱하지만 수학적 사고를 요하는 문제를 뽑아 소개합니다. 수학동아의 선택을 받은 문제는 어떤 걸까요? 여러분도 그 주인공이 되고 싶다면 [폴리매스]→[매스펀]→ [함께 풀고 ... ...
USA┃INTERVIEW “셜록 홈즈처럼 화성 미스터리 풀겠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존재했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풀어나간다. 잘 어울리지 않는가. 셜록이 특별한 이유는
사진
촬영과 분광 분석을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점이다. 화성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셜록은 화성 표면에 존재하는 무기물과 유기물 등의 분포를 다방면으로 분석한다. 만약 화성에서 유기물이 발견된다면, 이는 ... ...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길쭉길쭉하게 실처럼 보이는 초록색 부분이 모두 세포예요. 이 세포 속에 식욕을 조절하는 단백질이 있어요.”김은경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가 현미경으로 확대한 길쭉한 세포를 모니터에 띄우며 설명했다. 그가 오랫동안 연구해온 띠뇌실막세포(tanycyte)였다. 띠뇌실 ... ...
수만 대의 군집 위성에 천문학자들이 화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을 많이 모으기 위해 짧게는 수십 초, 길게는 몇 시간 까지도 셔 터를 열어두고 밤하늘의
사진
을 찍는다. 하지만 셔터를 열어 둔 동안 망원경이 찍고 있는 하늘 위로 위성이 지나가면 이 사 진처럼 흰 줄무늬가 생긴다. 수억~수백조km 떨어져 있는 별 은 지구에서 보기엔 거의 움직이지 않지만 고작 100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