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언니 개미는 동생들밖에 몰라~!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몰라. 맏언니 개미가 동생들을 잘 챙기는 것이 단순히 우애가 좋아서라고 생각했나요? 사실 개미는 사회성이 유달리 높다고 알려진 동물입니다. 특히 일개미는 자신의 번식마저 포기하고 자신의 자매와 여왕개미를 돌보기까지 하죠. 개미뿐만 아니라 사람에게서도 서로를 돕고 돌보는 경우를 볼 수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관심을 가지게 됐나요?수학동아에서 폴리매스 소개를 보고 작년부터 활동했습니다. 사실 수학이나 과학에 관심 있는 친구들을 학교에서는 찾기 어려운데 폴리매스에는 저와 비슷한 친구들이 많아서 좋아요. Q 폴리매스 활동이 어떤 도움이 됐나요?수학 관련 이야기를 나누며 새로운 개념을 배울 ... ...
- [특집] STAGE 2 쇼미더투표! 투표 결과는 과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그럴 리가요. 주민들이 대화와 토론을 통해 우리 섬에 적합한 것으로 정한 투표 방법이 사실은 가장 민주적인 방법이에요. 이렇게 정해진 방법에 따라 주민들은 투표에 참여하고, 당선자는 탈락한 후보와 지지자의 의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답니다. 미얀마 시민들에게 응원을 보내주세요 ...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잘못? 책임 공방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더 심각한 문제로 와닿았습니다. 이루다를 성적 쾌락의 도구로 대하고 성희롱했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은 건 이루다를 디지털 성범죄에 가장 취약한 20대 여성으로 가정했기 때문이겠죠. 안타까운 일입니다. Q 사회는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요?사람들은 유독 인공지능의 위험을 ‘개발자도 알 수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첩첩산중 강원도가 원래는 열대 바다였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지질학 증거는 4억 년 전 강원도가 따뜻했을 뿐만 아니라, 산이 아니라 얕은 바다였다는 사실까지도 알려주고 있지요. 현재 한반도가 지금보다 적도에 가까웠고, 오랜 시간 동안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해서 지금의 위치로 이동했을 수 있다는 거죠. 움직이는 지구, 미래에는 초대륙 등장 ... ...
- [한페이지 뉴스]2000년 전 ‘안티키테라 기계’로 재현한 행성의 움직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발견 이후 120여 년간 연구가 진행되면서 이 기계 후면부가 일식과 월식을 예측했다는 사실은 밝혀졌지만, 전면부의 움직임은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었다. 그런데 최근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이 이 기계 전면부의 구동 방식을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3월 12일자에 ...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한국 기업에 인수돼 화제였습니다. 경쟁 구도가 될까요? 정호 사실 아틀라스와 휴보를 동일선상에서 비교하긴 어렵습니다. 아틀라스가 만들어진 계기는 군사 목적이거든요. 아틀라스는 유압식 구동장치로 움직이기 때문에 힘이 센 대신, 유압관에 바늘구멍이라도 생기면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믿는 개신교도였고, 80대까지 살다 돌아가셨고, 주민등록에 실제 나이보다 어리게 등재된 사실을 모두 모아 외할머니가 되었듯이. 인공지능에게 하나하나를 가르치는 일은 더디고 답답해 보이고 현실보다 늦게 가는 것 같다. 그러나 내가 폭력을 가르치는 순간 다른 사람은 같은 데이터로 동물학대를 ... ...
- [이달의 책] 당신이 선한 것은 본능이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교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행성B에 살고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곧 자신이 틀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이는 다양한 재난상황에서 공통적으로 증명됐다. 2005년 미국 뉴올리언스에 허리케인이 강타해 도시의 80%가 물에 잠기고, 1800여 명이 목숨을 잃은 사건이 있었다. 사람들은 도시가 무정부 상태에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6화. 펜로즈 타일링과 대칭수학동아 l2021년 04호
- 1980년대까지만 해도 엉터리 실험으로 취급받던 고체 물질의 준결정 구조가 실존한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습니다. 이 발견의 주인공인 이스라엘 재료과학자 댄 셰흐트만 교수는 201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렇게 어마어마한 발견을 가능하게 한 펜로즈 타일링이지만, 정작 펜로즈 교수는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