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밀"(으)로 총 3,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건물을 정면에서 봤을 때 약 60%를 차지하는 이 곳, 바로 ‘창호’입니다.창호에 숨은 비밀정전에 있는 창호는 멀리서 보면 창호살이 띠처럼 보이기 때문에 ‘띠살창호’라고 부릅니다. 띠가 크게 세 줄로 보여 ‘세살창호’라고도 부릅니다. 경기전의 창호 대부분은 띠살창호입니다. 좀 더 가까이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본격적인 분석에 나선다. 물샐틈 없는 이 시스템 때문에 지하에서든, 바다에서든 비밀리에 핵실험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종류의 방사성물질을 사용했는지, 어떤 방식으로 폭탄을 설계했는지는 알 수 없다.2.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북한의 발표에서 가장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앞서, 6500만 년 전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아봐요.이리듐은 공룡 멸종의 비밀을 알고 있다?!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처음 등장해 각양각색 모습으로 진화하며 1억 6000만 년 동안 지구를 점령했던 거대 동물이 갑자기 사라져 버린 이유가 뭘까요?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갖가지 추측을 ... ...
- [News & Issue]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얼음 화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 우주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얼음 화산 명왕성의 비밀이 하나 둘 밝혀지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뉴호라이즌 호가 촬영한 명왕성 남극의 화산 ‘라이트몬스(Wright Mons)’의 사진을 1월 15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라이트몬스는 너비가 약 160km, 높이가 4km로 지구에서 가장 높은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CIA의 바람과는 달리 소련은 당시에 이미 우라늄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비밀리에 갖추고 있었다. 그것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로. 핵무기에 필요한 기술은 이미 반세기 전에 개발됐다. 이 기술들이 제자리걸음을 걷는 동안 다른 과학기술은 엄청난 발전을 이뤘고, 이제는 핵무기를 ... ...
- [소프트웨어] SW 기업 탐방_난 동작으로 수정한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지문 인식 기능을 예로 들 수 있다. 지문 인식을 이용하면 패턴을 ‘그리는’ 과정이나 비밀번호를 ‘누르는’ 과정 없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즉 그리거나 누르는 과정을 생략하고 지문을 갖다 대기만 하면 잠금을 풀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과정을 생략해 주는 기술은 내가 원하는 결과에 조금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당신의 눈을 속이는 착시 설계자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사진 제공 및 도움 : 커트 베너, 데이비드 맥도날드, 이스트반 오로스, 레온키어, 코키치 수기하라, 파올로 디 라짜로참고 문헌 : 티파니 잉글리스의 논문 ‘Constructing Drawings of Impossible Figures wi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소수에도 규칙이 있다?!대체 리만 가설이란 뭐기에 이토록 화제가 되는 걸까. 소수의 비밀을 담고 있는 리만 가설을 제대로 알기 위해선 오일러의 곱셈공식과 가우스가 제기한 소수 추측부터 살펴봐야 한다.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누구보다 소수를 사랑했다. 소수가 나올 때만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네에?! 말도 안 돼요! 오늘 첫 날이라 몰랐다니까요!”“어쨌든 안 돼! 누구든 지각하면 들여보내지 말라는 교장선생님의 명령이야!”학 ... 완벽한 답을 내놓진 못하고 있어요. 힉스의 발견은 표준모형의 1차적인 완성이자 우주의 비밀을 풀기 위한 또 다른 숙제가 됐답니다. 일러스트 : ... ...
- [Tech & Fun] 본격 과학 학술 만화, 재미는 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깜짝 놀랐다. 웬만한 과학책 저리 가라다. 정확한 지식 전달을 위해 학계에서 쓰는 어려운 단어를 거침없이 소개한다. 불친절하다는 얘기가 아니다. 쉬운 설명과 자세한 그림이 따라붙는다. 오히려 몹시 친절하다.한겨레의 과학 웹진 사이언스 온에 인기리에 연재됐던 김명호 작가의 ‘만화가의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