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숙주세포의 표면 단백질을 분해하는 프로테이즈의 작용을 억제해 숙주세포 내로 에이즈
바이러스
가 침투하는 과정을 막는다. 증상을 완화시키는 기존의 에이즈 치료제와는 개념부터 다른 근본치료제다. 프로테이즈 억제제는 현재 6종 이상의 약이 시판되고 있으며, 뛰어난 효과로 에이즈 감염 ... ...
봄하늘 뒤덮은 노란 흙먼지 황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장거리까지 전파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가축의 주요 전염병 중 하나인 구제역
바이러스
는 공기로 전파될 수 있다. 최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 발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국 10개 지역에서 채집된 3백57건의 황사에서는 구제역
바이러스
, 탄저균을 비롯해 각종 동물질병 원인균이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에어리언의 알은 폐허가 된 우주선에서 오랜 시간 동안 희생자를 기다리고 있었다. 마치
바이러스
처럼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 없이 생명 활동을 중단한 채 잠들어 있던 것이다.에어리언의 사회는 개미의 군집 사회와 매우 비슷하다. 알을 낳는 한마리의 여왕이 있고 일개미와 같은 보통의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
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질병을 퇴치하는 좀더 적극적인 방법이 최근 들어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바로 항
바이러스
제의 개발이다. 항
바이러스
제는 항생제와 비슷하다.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약이 항생제이고,
바이러스
의 성장을 억제하는 약이 바로 항
바이러스
제다.항
바이러스
제는 에이즈의 원인인 HIV가 발견된 ... ...
장기이식용 돼지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면역체계는 동물의
바이러스
와 싸워본 경험이 많지 않다. 동물 장기이식으로 치명적인
바이러스
가 감염된다면 급속히 확산될 위험이 크다. 동물 장기이식에 환자와 의사만의 합의가 아닌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 ...
'진짜' 감기약 세계 최초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표면에 있는 수용체와 먼저 결합하게 된다고 헤이든 박사는 설명했다. 이로써
바이러스
가 인체의 세포와 결합해 세포 안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현재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감기약은 단지 막힌 코를 뚫어주고 몸살기운을 가라앉히는 역할을 할 뿐이다. 표면에 ... ...
NT - 나노 세계에서 펼쳐지는 물질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팔에 달린 손으로 암세포만을 찾아 죽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특정한 목표를 찾아가
바이러스
나 암세포 등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는 나노로봇보다 한층 진화된 형태의 나노로봇도 등장할 것이다. 최근 이런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 미국 코넬대 연구결과인데, 니켈 나노 기둥에 프로펠러를 단 ... ...
에이즈 백신 안전성 입증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약화된 에이즈
바이러스
에 의해 생성된 킬러 세포가 인체로 퍼져 곳곳에 있는 에이즈
바이러스
를 물리친다는 것이다.이 같은 유전자 치료제는 근원적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약물과 구별된다. 성 교수는 GX-12의 안전성이 입증됨에 따라 조만간 리투아니아에서 추가 임상실험을 할 ... ...
04 난치병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한의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분비된 림포카인은 면역세포인 대식세포나 킬러세포를 활성화시켜 외부의 세균이나
바이러스
를 직접 제거한다. 거사작용에 해당하는 한약제는 바로 이 세포성 면역작용을 돕는다. 즉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의 이상이나 암 전이 과정의 비정상적인 생리작용을 인지하는 T세포를 도와 암의 전이와 ... ...
휴대폰에 침투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임의로 명명하기 때문에 간혹 같은 것을 다르게 부르는 경우도 있다.만약 같은
바이러스
인데 변종이 발견된 경우에는
바이러스
이름 뒤에 하나의 구분을 더 하는데, 숫자로 표시하는 경우와 영문자 알파벳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숫자 표시는
바이러스
코드의 크기를 바이트(byte)로 표시하는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