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하
해저
d라이브러리
"
바다속
"(으)로 총 2,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호 2030년까지 60% 파괴 예상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깊은 바다 속에서 아름다운 색을 뽐내는 산호가 멸종 위기를 맞았다. 최근 병에 걸리면서 희게 표백된 산호가 많아졌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고 과학자들은 경고한다. 멸종 원인에 대한 세 논문이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8월 15일자에 한꺼번에 발표됐다.미국 스미소니안 연구소의 존 판돌피 박 ... ...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갯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지난 10여년 간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새만금 간척사업이 다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지난 7월 15일 서울행정법원은 새만금 사업을 잠정 중단하라는 집행정지 명령을 내렸다. 법원의 결정은 사업을 추진하던 정부의 반발로 이어져, 다음날 김영진 농림부 장관이 사퇴의사를 밝히고 결국 물러 ...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EZ-D라고 알려져 있는 새로운 DVD는 포장을 벗겨낸 후 48시간 동안만 재생될 수 있다. 이 시간이 지나면 디지털 데이터가 스스로 파기되기 때문이다. 공기와 접촉하면 폴리카보네이트 표면이 불투명해져 디스크 재생기 안에 있는 레이저가 데이터를 읽어내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월트 디즈니 산하 부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별이 쏟아지는 해변으로 가요….”여름휴가철이면 더위를 피해 해수욕장을 찾아 떠나는 행렬로 국토의 동맥이 마비되는 현상이 해마다 되풀이된다. 해수욕장을 상상하면 넓은 모래사장, 눈부신 햇빛 이외에 해변가에 늘어선 횟집과 노래방도 쉽게 떠오른다. 이런 유희시설에 묻혀 잘 알려지지 ... ...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영화가 시작될 시간이 거의 다돼 헐레벌떡 영화관 안으로 들어간다. 광고 화면이 모두 지나가 조명은 꺼져 있다. 잠시동안은 주변을 알아볼 수 없다가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진다. 영화가 끝난 후 조명이 켜지면 객석이나 관객들이 훨씬 잘 보인다.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은 홍채가 조절한다. 주변이 ... ...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올 여름에는 동지나해에서 북상하는 태풍의 위력을 안방에서 TV생중계처럼 볼 수 있게 된다. ‘전설의 섬’ 이어도가 첨단시설을 갖춘 4백평짜리 인공섬으로 탈바꿈했기 때문이다. 기자는 지난 6월 2일 해양경찰의 러시아제 구조 헬기를 타고 완공을 앞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찾았다. 제주공항에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세계에서 가장 큰 과학실험장비인 거대강입자충돌기(LHC)는 모든 물질에 질량을 제공한다고 믿는 아원자입자인 힉스 보존을 검출할 계획이다. LHC는 기존 우주를 창조했던 빅뱅 폭발 후 10억분의 1초도 안되는 동안 존재했던 상태를 재현할 것이다. LHC는 2007년 가동 예정이다. 과학진흥을 위해 많은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더이상은 항해가 불가능하다. 한명의 병사라도 더 살리기 위해 일단 울릉도에 상륙한다. 그리고 이 배는 …. 절대로 일본에 빼앗길 수 없으니 침몰시키기로 한다.”함장 레베데프 대령은 이같은 결단을 내렸다. 1905년 5월 29일 아침 6시 46분. 함장의 명령에 따라 러시아 해군중령 블로클린과 몇명의 ... ...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비디오가 보급되지 않았던 시절, ‘주말의 명화’는 영화라는 문화를 접할 수 있었던 유일한 창구였다. 그 시절 겨울방학이 되면 어김없이 상영하던 ‘타워 링’이라는 영화가 있었다. 거대한 빌딩을 집어삼킨 시뻘건 불길과 생존을 위한 처절한 사투를 바라보면서 ‘불 구경만큼 재미있는 구경이 ... ...
3 배출된 이산화탄소 격리수용 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21세기에는 에너지 사용의 증가로 인한 지속적인 이산화탄소의 배출과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에너지의 생산과 사용, 그리고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에 대해 철저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1997년 연간 7.4GTC(기가탄소톤)에 달했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2100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