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법칙
규범
원칙
법규
원리
규율
d라이브러리
"
규칙
"(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마피아 조직의 싸움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 “삼각형 안에 적힌 수에는 어떤
규칙
이 있어요. 주변에 있는 삼각형을 통해
규칙
을 찾으면 답을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도형이 퍼즐을 해결하자 안토니오가 무언가 떠오른 듯 말한다. “이건 주소야! 지난 번에도 이런 일이 있었지. 계속해서 주소만 알려 주다니…. 무슨 꿍꿍인지 모르겠지만 ...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다른 실험실에서 이번 발견을 재현해야 새로운 원자에 이름을 붙일 수 있다는 국제
규칙
에 따라 이 원소는 아직 정식 이름이 붙여지지 않았고 임시로 ‘우눈셉티엄(ununseptium, 약자로 Uus)’으로 불린다.이번 연구를 주도한 러시아의 핵연구소(JINR)는 원자번호 113, 114, 115, 116, 118인 원소를 잇달아 ... ...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수학자 리만은 소수가 어떤
규칙
에 따라 배열돼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만약 소수의
규칙
을 발견한다면 수에 관한 커다란 비밀이 풀릴 것이다.3. 양-밀스 이론과 질량 간극 가설1954년 물리학자 양전닝과 로버트 밀스는 자연의 힘을 설명하는 방정식을 만들었다. 이 방정식으로 예측한 사실은 ... ...
책을 만들 때도 수학적 사고력으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동화 속으로 불러 내 딱딱한 수학원리를 재미있게 풀어 냈어요. 자연스럽게 수학의
규칙
과 원리를 이해하게 하며 학습과 재미라는 두 마리 토끼를 선물하는 책. 논리적 사고를 키워 주는 학습동화로 추천하고 싶어요.3. 책으로 집을 지은 악어책 읽기를 좋아하는, 수줍음 많은 악어가 ‘왕따’에서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을 찾으려는 꿈이 있었어요. 그가 발표한 ‘
규칙
’은 방정식의 형태로 이뤄졌습니다. 이처럼 방정식은 학문과 실생활 모두에 쓸모가 많답니다.이유1 생활 속에 일어나는 문제의 해결사방정식은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도구입니다. 그래서 방정식을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대부분의 강진들은 판의 경계면에서 일어나지만 아무런
규칙
적인 움직임이 없는 곳에서도 작은 지진들이 일어난다”며 “만약 응력이나 지나가는 지진파 때문이 아니라면 이는 여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요즘도 캐나다의 세인트로렌스 계곡에서 작은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19세기에 이르면 발견된 원소의 수가수십 개에 이른다. 그런데 이들 원소가 일정한
규칙
에 따라 배열된다는 사실을 알아 낸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멘델레예프다.원소를 질량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하면 화학적인 성질이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멘델레예프는 이런 생각을 더욱 발전시켜 원소 ... ...
셈도사 베레미즈의 모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7명의 다른 수학자와 승부를 벌입니다. 그 중 한 명이 베레미즈에게 참인 사실에서 거짓
규칙
이 나올 수 있냐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베레미즈는 네 자리 수의 제곱근 이야기를 예로 들어 설명합니다.2025의 양의 제곱근은 45입니다. 그리고 2025를 두 부분으로 나눈 20과 25를 더하면 45가 됩니다. 3025의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전혀 없을까. 기상청 이덕기 과장은 “한반도 지진은 규모는 크지 않지만 매우 불
규칙
한 특징이 있다”고 말한다.세계적으로 판 경계에선 지금도 끊임없이 지진이 발생한다. 일본의 경우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의 접경지대에 있어 지진 피해가 많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유라시아판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찾을 수 있었으니까요. 균일한 나노입자 크기가 일정한 나노입자로 물성이 균일하고
규칙
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MRI 조영제나 자기저장매체 같은 다양한 재료로 쓰일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창의연구사업으로 소수의 과학자에게만 연구비가 몰리는 게 문제라는 지적도 있습니다.현 :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