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색맹이다?’ 겨울에 눈이 오면 개들이 눈밭을 신나게 뛰어 노는데 그건 희고 검은 색밖에 구분하지 못해서라는데 사실일까. 상식 둘. 거실에 ‘실례’를 한 개는 자기 잘못을 알고 있어서 주인이 들어오면 꼬리를 감추고 피하거나 알아서 벌을 선다? 개가 그렇게 도덕적인 동물일까.개를 잠시라도 ...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있는 오른쪽 발로 땅을 박차고 나가면 안 된다는 거죠. 반대로 경보에서 ‘반칙’으로 구분하는 그 발동작을 그대로 계속 이어나가면 달리기가 됩니다.달리는 ‘네발 로봇’이 없는 이유뜬금없이 왜 경보이야기를 하냐면, 로봇이 걷고 달리는 기준도 이 기준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나, ... ...
-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수학동아 l2011년 11호
- 관찰해 보면‘몸의 외부’인 셈이다. 즉 정말 우리 몸속 소화기관은 겉과 속의 구분이 없다!이처럼 위상기하학은 사물을 좀 더 유연하게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사실 요즘은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다. 자칫 잘못하면 새로운 변화만 쫓기도 바쁜 세상이지만 실제로는 겉모습만 봐서 알 수없는 ...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놓았을 때 겹쳐지면‘주기적 타일링’, 겹쳐지지 않으면‘비주기적 타일링’으로 구분한다. 주기적 타일링과 비주기적 타일링의 종류는 무궁무진하다. 주기적 타일링의 경우 수학자들이 타일 모양은 똑같지 않아도 타일링의 구조가 본질적으로 같은 경우를 한 그룹으로 묶었더니 모두 17개 그룹이 ...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퍼지는 동안 골밀도와 근육량, 관절 등에 따라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음향 센서가 이를 구분해 사용자가 어느 메뉴를 눌렀는지(팔의 어느 부위를 눌렀는지) 알 수 있다. 초기 시험에서 스킨풋은 20분간 훈련하면 사용할 수 있었으며, 팔의 5곳에 각기 다른 입력 기능을 부여하자 95%의 정확성을 보였다. ... ...
- 펜보다 키보드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다르다는 점까지 고려한 키보드도 있다. 미국의 한 입력장치 회사는 키의 압력을5가지로 구분한 키보드를 개발했다. 제일 힘이 약한 새끼손가락으로 누르는 키에는 35g, 일반 키는 45g, 시프트 키를 포함한 편집 키나 위쪽에 있는 기능 키에는 55g, 엔터 키는 65g, 스페이스 바나 알트, 컨트롤 키에는 제일 ... ...
- 1/2은 되고 2/4는 안 되나?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아닙니다.이처럼 분수는 수를 나타내는 형태를 말합니다. 소수냐 분수냐 이렇게 구분할 때 의미가 있습니다. 같은 유리수라도 1/2은 분수로 나타낸 것이고 0.5는 소수로 나타낸 것이죠 ... ...
- 새로운 일가를 이룬 이탈리아참새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접촉이 없어 서로 교미하지 않으면 유전자를 교류하지 않아 세대를 거듭할수록 뚜렷이 구분되는 유전적 특징을 갖게 된다.연구팀은 과거에 스페인참새와 집참새가 교미해 태어난 후손이 우연히 지리적으로 차단된 곳으로 날아와 오랜 시간에 걸쳐 독자적인 종으로 진화한 것으로 추측했다. 새롭게 ... ...
- LED로 빛 만들고 합치기과학동아 l2011년 10호
- 할로겐등, 형광등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LED의 종류LED는 밝기,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한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LED는 형태가 원형인 일반형 LED와 고휘도 LED이다. 고휘도 LED는 일반 LED에 비해 휘도(밝기)가 높은 LED이다. 일반형 LED에 비해 빛의 직진성이 뛰어나다. 일반형 LED는 칩을 ...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과학동아 l2011년 10호
- 통하던 여러 가지 양자역학적 효과가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0과 1이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아 정보가 불분명해지는 상황이 왔다.새로운 컴퓨터의 능력을 테스트하는 문제로 ‘큰 수의 소인수분해’가 있다. 디지털컴퓨터로는 이 문제를 풀 때 숫자가 커질수록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린다.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