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게"(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 보통난이도올해 2월, 적도 상공 약 3만6000km를 향해 우리나라 정지궤도위성 천리안 2B호가 발사됐다. 정지궤도위성으로는 전 세계 최초로 대기오염물질을 관측 ... 정확한 위치를 바라보는지 계속해서 확인할 것”이라며 “해양과 미세먼지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기술의 발전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어떻게 더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게 중요하죠. 오늘 모인 여러분과 같이 과학에 관심이 많은 시민들이 질문을 던지고 의견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꽤 많았다. 최근에는 운 좋게 같은 학과 연구실에서 연구 보조 아르바이트를 하게 됐다. 일주일에 10시간 정도 연구를 하면서 한 달 4만 엔(약 44만 원) 정도의 수입을 얻고 있다. 물가 비싸기로 유명한 도쿄에서 그럭저럭 잘 살아남은 셈이다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정보를 다룰 것이기에 보안 기술의 허점을 보완, 극복해 클라우드를 현실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정착시켜야 한다. 또 에지, AI 클라우드 등 새 유형의 서비스가 등장할 때마다 우리는 그에 맞는 보안 시스템을 미리 준비해야 할 것이다. 백윤흥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다. ... ...
- [진로체험] 잘나가는 엔지니어에서 법의 수호자로! 박의준 보리움법률사무소 변호사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되기 전 치과의사를 하려다가 늘 비슷한 일을 할 것 같아 새로운 일을 좋아하는 성격에 맞게 특허나 개발 등 다양한 걸 해볼 수 있는 변호사로 진로를 바꿨어요. 진로를 잘못 정하면 시간을 낭비할 수 있어요. 진로를 바꾸기 전에 조사를 잘 해보고 평생 일을 해도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 ... ...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탐사에 들어가면 키옵스는 용암 바다로 덮인 ‘게자리 55 e(55 Cancri e)’를 살펴볼 거야. 게자리 55 e는 표면의 온도가 2000℃ 이상인 아주 뜨거운 슈퍼지구로 잘 알려져 있지. 또, 불타는 얼음 행성이라고 불리는 ‘글리제 436 b(GJ 436 b)’ 등도 관찰 대상으로 꼽히고 있단다. 테스트에서 보여준 내 능력은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달고나 커피의 영어 이름도 ‘Dalgona Coffee’더라고요. 달고나 커피의 종주국(?)답게 우리나라의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온갖 창의적인 달고나 커피 제작 영상을 올리고 있어요. 그 중에서도 이 영상 속 달고나 커피 머신의 정체는 그야말로 ‘상상도 못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첨단 달고나 ... ...
- [시사과학] 코로나19 어린이 브리핑 개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코로나 방역의 최전선,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매일 우리나라 코로나19의 감염 현황을 발표하고 있어요. 그런데 지난 4월 29일 수요일, 특별한 브리핑이 열렸어요. 5월 1일~7일, ... 어떤 공부를 해도 이곳에서 일할 기회는 많으니, 지금부터 공부를 열심히 해주세요. 기다리고 있을게요! ... ...
-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우리는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가는 걸까요? 19세기 프랑스 화가 폴 고갱이 던졌던 이 질문은 철학적인 듯 들리지만 과학적이기도 해요. 인류가 탄생하기 ... 전 세계 수천 명의 연구자들이 가속기와 그 주변에서 일해요. 이들은 미니 빅뱅을 어떻게 만들까요? 6월 15일 자를 기대해 주세요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90년대 후반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1년 발사 예정인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