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염
경구감염
경구
경귀
자가감염
자가
자가보험
d라이브러리
"
감염
"(으)로 총 1,685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일방적 승리는 없다 절충이 있을 뿐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그래서 에이즈
감염
자는 각각 환자로 변하는 시간이 다르고, 그 증상도 사람에 따라 또는
감염
한 바이러스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아마도 그 농구 선수의 에이즈가 그런 행운의 경우인지도 모른다.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에이즈 바이러스가 이미 사람을 공격하는 강도를 낮추어 ... ...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에이즈 바이러스는 체액 접촉을 통해서만 전염된다. 하지만 만일 이 바이러스가 공기로
감염
될 수 있는 새로운 변종으로 둔갑한다면 어떨까. 이에 대한 대비책이 마련돼 있지 않다면 마치 겨울에 감기가 확산되는 속도처럼 빠른 시간 안에 다수가 사망에 이를 것이다.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위험의 ... ...
컴퓨터바이러스 스토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않기 위해 최소한의 예방법을 살펴보자.최근 바이러스는 대부분 인터넷을 통해서
감염
된다. 따라서 잘 모르는 파일을 다운받아 사용할 때는 반드시 백신 프로그램으로 검사해야 한다. 새로운 프로그램의 경우 무작정 다운받지 말고, 좀 얌체 같지만 먼저 다운받은 사람들이 별 말이 없는지를 살핀 ... ...
아우슈비츠와 731부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거꾸로 매달아 몇시간 만에 죽는지를 알아보는 기상천외의 실험들도 이뤄졌다.세균을
감염
시킨 환자들을 건강한 사람들이 모여있는 막사에 넣고 전염병이 얼마나 빨리 번지는지를 지켜보는 일도 다반사였다. 물론 그러한 실험은 죽을 때까지 진행됐다. 아무런 치료도 하지 않은 채. 나중에 731부대 ... ...
플레밍 신화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있었다.여러해 동안 각고의 노력 끝에 페니실린의 분석과 정제에 성공한 그들은 1940년 봄
감염
된 8마리의 쥐를 대상으로 의미 있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충분한 양의 페니실린을 투여 받은 3마리만이 살아남았다. 이는 플로리의 표현대로 기적이었다.한편 플레밍은 플로리팀이 1940년 ... ...
환자의 심리 상태 중시하는 의학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시대 변천에 따르는 질병구조의 변화를 들 수 있다. 근대 의학의 발전으로 전염병이나
감염
병과 같은 외인성 질환(외부 환경에 존재하는 병균으로 인한 질병)에 따른 환자수나 사망률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반대로 성인병이나 만성병 같은 내인성 질환의 비율은 증가하고 있다.성인병이나 ... ...
들판에 형성된 불가사의 원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않았고, 결정적으로 원 내부의 나무들이 가장자리의 것보다 오래되지 않았다. 곰팡이에
감염
됐다면 다시 자란 나무들은 중심에 있는 것이 가장 나이가 많아야 한다.새로이 등장한 이론은 온타리오 지질학 연구소의 지질화학자 스튜어트 해밀턴이 제기한 것으로 지구 내부의 전기화학적 과정이 ... ...
Ⅴ. 막의 경계를 허무는 계면활성제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비누다. 흔히 감기에 걸리지 않으려면 손을 깨끗이 씻으라고 한다. 이는 감기의 주요
감염
경로가 손에 묻어있는 미생물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손을 비누로 씻으면 미생물들이 손에서 떨어져 나간다는 말인가. 그렇게도 볼 수 있지만 정확히 말하면 비누로 인해 미생물의 세포막이 파괴된다는 것이 ... ...
1999년 컴퓨터 바이러스 경보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사람들의 반응을 지켜보는 것이 좋다. 얌체 같기는 하지만, 조금만 기다리면 바이러스
감염
여부나 프로그램에 대한 평을 들을 수 있어 여러모로 좋다. 마지막으로 플로피디스크 1장에 시스템 파일과 함께 백신 프로그램을 넣어두고 쓰기 방지탭을 걸어놓으면 비상시 활용할 수 있다 ... ...
식물에서 추출한 예방용 항체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생각되고 있다. 백신처럼 몸속에 침투한 병원균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병원균에
감염
될 것이 예상되면 항체를 점막에 뿌려 점막 표면에서 병원균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단일클론항체는 현재 80여종이 임상실험 중이며 최근 콩에서 추출한 항체가 쥐의 성병 확산을 막고, 담배로부터 추출한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