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감퇴
감량
저하
하락
수축
점감
d라이브러리
"
감소
"(으)로 총 2,261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제술로 부활하는 백두산호랑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자연상태에 이만큼의 공간과 먹이가 없다. 남한의 경우 산업화가 되면서 산림이 크게
감소
했고, 전국을 바둑판처럼 나누는 도로가 만들어졌다. 북한의 경우에도 무분별하게 벌채하고 식량생산을 위해 산림을 농토로 바꿨다. 비무장 지대(폭 4km, 총길이 2백48km)는 폭이 너무 좁다. 현재 상황에서 복제 ... ...
Ⅱ. 드라큘라는 왜 보름달에만 출현하나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보고됐는데 방문횟수가 상현달 근처에 증가하고 초승달이나 보름달의 경우 오히려
감소
했다고 한다.하지만 실망스럽게도 위에 언급한 사례를 제외한 대부분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보름달을 포함한 달은 인간의 정신세계나 사건사고와 별 상관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달과 관련성이 ... ...
2. 극한 조건 실험 대행 핵폭발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질량으로 발생하는 엄청난 만유인력 때문에 양전하를 띠는 수소 원자핵간의 반발력을
감소
시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일어난다. 그러나 지상에서의 핵융합 반응은 태양보다 더 높은 수억도에 이르는 플라스마 상태가 요구된다.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초고온을 지상에서 얻기 위해서는 플루토늄과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달의 좌우 크기는 변화가 거의 없다. 그리고 달이 하늘 높이 떠오를수록 굴절효과가
감소
되므로 점차 원에 가까운 달의 제모습을 갖게 된다. 따라서 지평선 가까이 뜬 달은 중천에 뜬 달에 비해 상하로는 작게, 옆으로는 같은 크기로 보이게 된다.지평선 가까이 있는 달과 중천에 뜬 달을 각각 ... ...
파도와의 절묘한 만남, 서핑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물의 이런 운동은 수면 근처에서만 일어난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원운동은 점점
감소
하고 거의 파도의 파장과 같아지는 수심에서 사라지게 된다.(그림2)파도가 파동이라는 점은 서퍼가 이동하는 물에 의해서 밀려가는 것이 아님을 지칭한다. 만일 서퍼가 물에 그냥 떠있기만 한다면 음료수병처럼 ... ...
북극 오존층 파괴하는 산성구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계속 얇아지고 있다. 지난 4월에는 북극의 성층권 일부분에서 오존의 농도가 60%까지
감소
하기도 했다. 이미 알려져 있듯이 오존층 파괴의 결과는 심각하다. 오존층을 보호하지 않으면 사람들은 피부암으로 고통받을 것이며, 농작물과 가축들도 오존층이 걸러주던 자외선을 직접 받게 돼 손상될 ... ...
3. 유전자가 여는 디스토피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없이 검사가 실시되었다. 이런 경솔한 처사로, 미국은 흑인에 대한 보험가입 거부와 고용
감소
라는 인종차별의 불명예스러운 역사를 지니게 됐다. 따라서 유네스코 총회는 ‘인간 게놈과 인권에 관한 세계선언’에서 유전자 차별이 비윤리적임을 선언하고 있다.물론 지금도 양수검사나 초음파 검사 ... ...
잘못된 머피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물건을 강매당한 셈이 된다. 뿐만 아니라 이 복권으로 다시 6등에 당첨되면 역시 똑같은
감소
형 사이클이 반복되면서 결국 6등에 해당되는 기대값은 0으로 수렴하게 된다. 1천원짜리 복권의 수학적인 기대값은 5백원이지만 6등에 당첨된 복권을 다른 복권으로 바꿔주는 방식에 의해 실제의 기대값은 ... ...
양자세계의 토끼 사냥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크기와 길이를 곱한 양에 -부호를 붙이고 플랑크 상수 h로 나눈 양을 지수로 갖는
감소
하는 지수함수의 형태를 가진다.따라서 에너지가 h보다 매우 큰 고전적인 경우에는 이러한 터널링 효과는 우주의 나이만큼 긴 시간보다 훨씬 긴 시간 동안에도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플랑크 상수가 1인 이상한 ... ...
'달밤에 체조' 병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먼저 운동을 시킨 쥐에서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뇌 단백질(사이토카인)의 양이
감소
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 질병에 맞서 싸우는데 필요한 단백질(인터류킨-2, 인터페론-g 등)이 현저히 증가했다. 마지막으로 운동을 시킨 쥐에게 심리적인 충격을 가했을 때 뇌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아드레날린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