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상식을 벗어난 것이었다.인간이 선천(innate) 면역반응과 후천(adaptive) 면역반응의 두 가지 면역 경로를 보유하고 있다는 현대 면역학의 토대가 만들어진 건 1980년대에 들어서였다.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항원을 먹어치우는 건 선천 면역반응에 해당하고, 항원에 특이적으로 맞서 싸우고 항원을 제거할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전자가 존재하는 바이러스였기 때문이었다. 참고로 지금까지 밝혀진 HPV의 종류는 130여 가지다. 1979년 추어하우젠이 이끄는 연구팀은 HPV 6형과 11형의 DNA를 확인했다. 그리고 1983년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HPV 16형을, 이듬해 HPV 18형을 발견했다. 꾸준한 실험 결과 자궁경부암의 70%가 HPV 16형(50%), HPV 1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천연두바이러스와 전혀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였다. 하지만 두 종은 교차 면역성을 가지고 있어 우두바이러스를 접종하더라도 천연두바이러스에 대한 후천 면역이 생성될 수 있었다. 교차 면역성은 서로 다른 항원을 인체가 동일한 종류로 인식해 면역을 획득하는 성질을 말한다.일부 백신으로 얻는 ...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단백질을 발현하도록 백신을 설계하기도 한다. 핵산 백신은 크게 DNA 백신과 RNA 백신 두 가지로 나뉜다. 유전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이론인 ‘중심원리(central dogma)’에 따르면 유전정보를 표현하는 최종 물질인 단백질은 DNA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DNA로부터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데 필요한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그 결과 문명의 미래는 소멸 모형, 연착륙 모형, 급속 붕괴 모형1, 급속 붕괴 모형2라는 4가지 시나리오로 분류됐습니다. 이중 문명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시나리오는 오직 연착륙 모형뿐이었어요. 프랭크 교수는 “이 연구 결과가 외계 문명의 증거를 발견하기 어려운 이유를 푸는 해답이 ... ...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현재 HA는 18가지, NA는 11가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론적으로 둘을 조합하면 198가지의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만들어질 수 있다. 스페인독감은 H1N1, 홍콩독감은 H3N2였다. 20세기를 휩쓴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21세기에도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일으켰다. 2009년 6월 11일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하는데, 한 가지 조건이 더 붙기 때문이다. 바로 다른 세포에 기생할 때만 이들 일곱 가지 특성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반대로 세포에 붙어 있지 않을 때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무생물 단백질 덩어리에 불과하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쯤이라는 애매한 위치에 바이러스를 놓고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VZV가 발견됐는데, 모두 증상은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흥미로운 점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우주인도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VZV가 활성화됐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VZV의 활성화 여부로 우주인의 면역력을 가늠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놓기도 했다. 한편 NASA는 우주인이 탐사선이나 국제우주정거장(ISS)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분비물)감염이 가능한 코로나19 등 감염병에 대해 전체 인구 집단의 60~70% 이상이 항체를 가지게 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공기감염이 가능한 홍역은 95% 이상이 항체를 가져야 집단면역이 형성된 것으로 본다. 집단면역은 특정 집단 내에서 백신을 맞은 사람의 비율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현재 ... ...
- [수학뉴스] 게임 이론으로 암 치료법 찾는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나왔습니다.알렉스 블라디미르스키 미국 코넬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은 암세포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누고, 각각의 세포가 경쟁적으로 자라는 모습을 가위바위보 게임에 비유했습니다. 예를 들어 백만 명의 사람들이 다 함께 가위바위보를 할 때, 가위, 바위, 보 중에 바위가 가장 많다면 이에 대항할 수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