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d라이브러리
"
가운데
"(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지름이 1.8m)에서 반사돼 부경으로 향한다. 부경에서 다시 한 번 반사된 빛은 배플(주경
가운데
달린 검은 원통) 속을 통과해 뒤쪽의 카메라(검출기)에 도달해 이미지 데이터로 바뀐다.한국 연구팀이 4월 이후 관측한 미국 하와이의 유커드 망원경의 데이터도 실렸다. 유커드 망원경에서 7월 26일에 ... ...
종교에서 과학으로 Ⅱ 그림 속 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었지요. 세 장으로 이루어진 를 볼까요?
가운데
열심히 책을 읽고 있는 성모 마리아가 있네요. 여기서 탁자 위의 백합은 성모 마리아의 순결을 상징해요. 에는 아름다움과 *다산을 상징하는 영적인 꽃으로 백합에 대한 구절이 많거든요. ...
공책, 수학으로 가득 찬 '빈 책'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3번 접으면 8절 크기의 용지 8(=2³)장이 나온다. 이것을 한 꼭지라고 하는데, 한 꼭지의
가운데
를 살짝 접어서 묶으면 16절로 된 16장짜리 공책을 만들 수 있다. 두 꼭지를 묶으면 32장, 세 꼭지를 묶으면 48장이 된다.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의 공책은 24장인 경우가 많다. 대학생은 필기할 것이 많기 때문에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풀 등 식생이 발달하면 작은 산사태는 막지만 큰 산사태는 늘어난다”고 말했다. 사면
가운데
에는 경사가 완만한 곳과 오목한 형태를 띤 곳이 경사가 급하거나 볼록한 곳보다 위험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폭우 도시를 삼키다PART 1. 산사태PART 2. 도시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우리나라 이공계 인재 양성의 산실로서 나름의 학풍을 각각 갖고 있다. 하지만 GIST는 그
가운데
서도 독특한 위치에 있다. 지난 16년간 대학원을 운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학사과정에서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 충분히 고민하고 연구했기 때문이다. 이관행 대학장은 GIST만의 강점으로 한 기수에 100명에 ... ...
커피 얼룩에서 테두리 없애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위에 흘린 커피를 닦지 않고 마르게 내버려두면,
가운데
는 옅고 가장자리는 진하게 얼룩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치 한 폭의 수묵화처럼 부분마다 농도가 다른 이 현상을 과학자들은 ‘커피 고리 현상’이라고 부른다.1997년 시드니 나젤 시카고대 교수팀은 이 현상은 물방울이 공기와 접촉하는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우주먼지 속에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다양한 유기화합물이 있었고 그
가운데
는 아미노산인 글리신도 있었다. 아미노산은 생체분자인 단백질의 구성성분이다.연구자들은 “혜성의 분출물(먼지)에 유기화합물이 존재한다는 건 천체생물학의 관점에서 흥미로운 일”이라며 “이 물질이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홍보하고 천혜의 갯벌도 보전하는 ‘발상의 전환’을 이룬 것으로 유명하다. 갯벌
가운데
일부를 갯벌체험터로 지정하고 이 안에서 갯썰매를 타거나 진흙수영을 할 수 있도록 개방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처음 시작은 이벤트였다. 27년 전, 갯벌 스포츠를 겨루며 논다는 뜻에서 ‘갯벌올림픽 ... ...
같은 실험을 여러 관점에서 보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같은 조건이면 결과값도 똑같이 나와야 합니다. 만약 결과값이 다르다면 전자나, 후자
가운데
잘못된 점이 있을 것입니다. 또한 결과값이 같더라도 다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 먼저 자신이 하고 싶은 실험을 했더라도 같은 과정을 거쳐 실험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조작변인을 조금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배아암종세포 자체가 정상세포가 아니라는 점. 만일 정상세포
가운데
배아암종세포처럼 미분화된, 즉 전분화능을 갖고 있는 세포를 확보할 수 있으면 생물학이나 의학에서 매우 쓸모가 많을 것이다.흥미롭게도 배아의 초기 발생단계에서 배아 내부에 있는 ‘안쪽 세포덩어리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