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3,18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회기반시설 '평생 주치의'는 정보기술
과학동아
l
200910
여러 시점에서 볼 수 있고 관심이 가는 부분을 클릭하면 어떤 부품이 언제 어떻게 쓰였고
마지막
보수는 언제 했나 같은 구체적인 정보가 화면에 뜬다.“지금은 이런 걸 보려면 설계도와 관련 문서를 일일이 뒤져야 합니다. 이래서는 도저히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죠.”하천관리 시스템도 마찬가지다.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10
속에서 파란 불빛을 내며 달려가고, 하늘엔 새빨간 노을이 펼쳐져 있다. 특히 이 시의
마지막
행을 읽으면 ‘소리가 눈에 보인다’. “분수(噴水)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소리.” 소리가 색깔을 띠거나 분수처럼 흩어질 수 있는 건 문학작품에서나 가능한 일일까.마음만 먹으면 소리를 눈에 보이게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10
출판했다. 보통 수학 논문에는 심사위원이 많으면 3명 정도가 참여한다. 참고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것으로 유명한 영국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의 논문에는 6명의 심사위원이 참여했다.한편 공 모양이 아니라 다른 형태이면 어떤가 하는 문제도 흥미롭다. 예를 들어 물질을 이루는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10
불가능.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 일대일대응수백 년 동안 수학자들을 괴롭힌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 쓰인 원리 중에는 일대일대응에서 출발한 '비둘기집의 원리'가 있다. 비둘기집의 원리는 비둘기가n마리, 비둘기집이m개 있을 때 n이m보다 크면 적어도 하나의 집에는 비둘기가 두 ... ...
독해력 향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09
각 단어의 뜻이 무엇인지를 기존에 저장해둔 기억에서 찾아낸다. 이를 바탕으로
마지막
에 전체 글의 내용에 대해 해석한다. 보통 사람들이 한눈에 지각할 수 있는 글자 수는 평균 3.2자 정도다. 이는 사람의 시야 중 ‘명시점’이라는 영역에 들어와 인식된 것이다. 명시점에 들어온 글자는 선명하기 ... ...
계륵(鷄肋)과 암호
과학동아
l
200909
두 문자가 같은 열에 있으면 각 문자를 각각의 아래 행에 있는 문자로 바꾼다. 문자가
마지막
행에 놓여 있는 경우에는 첫째 행에 있는 문자로 바꾼다. 이를테면 rl은 gr로 바꾼다.(3) 한 묶음인 두 문자가 같은 행이나 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하나의 문자를 같은 행에 있으면서 또 다른 문자의 열에 ... ...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법
과학동아
l
200909
공격성에서 또래 여성에게 이루지 못한 성적 욕구를, 흔적을 남기지 않고 납치한 뒤
마지막
순간까지 폭력성을 감춘 점에서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특성을 간파한 것이다.‘범죄현장에 남겨진 단서나 유추할 수 있는 범인의 행동 특징을 바탕으로 범인의 성격이나 성별, 학력, 심리, 정신 상태, ... ...
서류-면접만으로 100% 선발
과학동아
l
200909
의 입학사정관이 다시 한 번 평가한다. 그 뒤 지원자의 지원 전공과 관련된 교수사정관이
마지막
으로 검토한다. 이처럼 입학사정관이 서류를 최소 2번에 걸쳐 교차 평가(크로스체킹)한 뒤 입학사정관 전원이 참석하는 입학위원회에서 합격 여부를 결정한다.교과지식 묻는 심층면접 실시면접은 크게 ... ...
3. 오늘 바로 절약의 고수되기
수학동아
l
200909
마지막
으로 오늘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절약의 비법을 알려줄게요. 이 비법만 안다면 친구들이나 부모님께 절약의 고수로 인정받을 수 있을 거예요.아이스크림 콘의 착시더운 여름 편의점에서 시원한 아이스크림 콘을 사들고 나오는데 친구를 만난 적 있지 않나요? ‘한 입만’을 외치는 친구에게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09
이번 발사가 부분적인 성공이라고 자평한다. 로켓은 제대로 날아갔지만 비행의
마지막
단계인 위성 궤도 진입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그렇게 불러야 한다는 논리다.하지만 로켓의 최종 목적이 달성되지 않은 상황에 대해 “실패라고 불러도 할 말은 없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자국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