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2,57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더불어 사는 문화를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05
사실 준비기간이 부족했지만, 지난 해에 과학문화의 씨앗을 전국적으로 뿌렸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하고 싶습니다. 올해는 지금까지 진행된 사업의 장단점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선진국의 사례를 참고해 중장기계획을 수립할 예정입니다.”나 이사장의 주특기는 염증 치료다. 나 이사장은 서울대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05
날씨가 한결 좋을 것이다.세계일주 재도전반디는 모든 준비를 거의 마쳤다. 5000m 이상
높이
비행한다면 더 이상 얼음 폭풍에 착빙될 염려가 없어진다. 더 강력한 엔진을 달아 이번에는 꼭 남극점에 반디의 흔적을 남기리라. 나는 준비할 것이 특별히 없다. 자신감은 이미 충만하다. 15세에 조종사 ... ...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선생님까지 직접 한국로봇교육연구원에서 연수를 받았다고 하니 학생들의 창의력을
높이
기 위한 열정이 정말 대단하죠?이렇듯 과학 교육과 창의성 교육에 힘을 쏟고 있는 예일초등학교에서 21세기를 빛낼 미래의 뛰어난 과학자들이 많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05
롭해즈는 도로 주변을 살폈다. 곧이어 모래와 자갈로 된 언덕을 오르기 시작했다. 낮은
높이
의 언덕을 서서히 오르던 롭해즈가 길이 30cm, 경사 40도인 장애물을 만나자 갑자기 허둥대기 시작한다. 안간힘을 쓰며 오르는가 싶다가도 다시 뒤로 미끄러지기를 몇차례. 궤도로 된 캐터필러는 아스팔트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05
더 멀리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즉 지평선 근처의 달이 하늘
높이
떠있는 달보다 멀리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멀리 있는 것은 작아 보인다’는 상식을 보완하려는 작용으로 달이 실제보다 더 크게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기하학적 착시의 일종인 폰조원근착시와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04
대표치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숲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산 중턱에 30m
높이
의 관측탑을 세웠다. 관측탑의 윗부분에는 빠른 속도로 이산화탄소 농도와 바람의 수직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가스분석계와 3차원초음파풍속계가 설치돼 있다. 관측값은 거의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 ...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
과학동아
l
200504
부드러운 쿠션 위에 떨어뜨릴 때 공을 떨어뜨리는
높이
를 조금씩 높여보자. 떨어뜨리는
높이
를 높일수록 떨어지는 시간이 길어지고 쿠션에 남는 자국도 깊어진다. 하지만 떨어지는 물체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아주 어렵다. 그래서 평평한 판을 벽에 비스듬히 기대놓고 공을 굴려 공이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04
정반대편에 위치한다. 즉, 이러한 상태에선 지구에서 보이는 목성은 밤 12시가 되면 하늘
높이
정남 방향에 떠있다. 행성이 정남에 위치하는 것을 남중이라고 하며, 밤 12시에 행성이 남중했다는 뜻은 그 행성이 충의 위치에 있다는 뜻이다.올해 충이 된 날, 지구에서 볼 때 처녀자리에 목성이 있었다고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04
생산하도록 설계됐다. 짧은 시간에 많은 중성자가 튀어나오도록 노심 크기를 직경 40cm,
높이
70cm로 최대한 줄였다. 그만큼 중성자 밀도와 단위부피당 출력은 크게 올라간다. 반면 같은 출력의 발전용 원자로 보다 5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규모다. 짧고 굵게 타버린 탓에 연료는 수시로 교체된다. 이 ... ...
숫자에 숨겨진 저글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503
커서 여러 개의 공을 동시에 받고 던질 수 있다면? 저글러가 괴력을 가져 얼마든지 공을
높이
던질 수 있어서 지금 던진 공을 내일이나 모레 쯤 받거나 아니면 언제 받을지 알 수 없다면 어떨까? 엉뚱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이런 문제들을 고민하다 보면 어느 새 수학의 달인이 돼 있을지도 모른다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