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경없는 「컴퓨터바이러스」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놀라운 사실은 이러한 피해사례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데 있다. 대부분의 컴퓨터
이용
자들은 바이러스를 발견했더라도 연구의 비밀을 지키기 위해서나 고객들로부터 신용실추를 우려해 그 사실을 숨기는 것이 다반사다.바이러스의 피해가 보다 심각해지는 이유는 이제까지 장난기 섞인 무해 ... ...
1메가 S램 양산체제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들어간 바 있다.삼성의 1메가S램은 C모스 공정기술을 채택했으며 다층배선기술을
이용
해 정보처리속도를 70나노초(1나노초는 ${10}^{-9}$까지 향상시킨 점이 특징. 삼성은 세계적으로 메모리제품의 고속화추세를 감안해 올해 중반부터 1메가S램의 생산량을 월 10만~20만개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 ...
열대신 고압으로 식품가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있기 때문에 고기 전체로서는 생것과 거의 같은 생태로 보존된다.이 '신선함'이 고압을
이용
한 식품 가공기술의 제1의 특징이고 중요한 영양소를 파괴하지 않는 것이 제2의 특징이다. 일본기업은 이런 장점을
이용
, 고압가공을 실용화하려 하고 있어 기대를 모으고 있다 ... ...
암의 메커니즘까지 밝혀낸 분자생물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환자의 완치전망과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가능하다.항암제 개발에도 성장인지를
이용
하고 있다. 그간에 제도된 함암제의 최대 약점은 선택성이 부족하다는 데 있었다. 즉 눈먼 장님처럼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가리지 않고 파괴시킨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는데, ... ...
21세기 천문학 중력파 천체물리학이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출현은 시간 문제인 것으로 인식된다.최근에는 레이져 간섭게(laser interferometer)를
이용
한 안테나의 제작 방법이 알려져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미 사용중인 안테나들과 새로 제작 중인 안테나들을 모두 합치면 훌륭한 네트워크(network)를 구성하게 되어 조직적인 중력파 연구도 가능하게 될 것으로 ... ...
PARTⅠ에너지 ENERGY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미생물 중에서도 녹조류 남조류와 같은 조류(algae)와 광합세균은 태양에너지를 거뜬히
이용
한다. 바로 이 과정에서 수소(${H}_{2}$)가 생성된다.예컨대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박테리아는 세포내에 있는 효소의 도움을 받아 2개의 수소이온을 결합시켜 수소가스를 만든다. 또 녹조류인 클로렐라는 ... ...
월츠의 명수 홍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만원을 이뤘다.홍학은 군서(群棲)하는 강한 집단성을 갖고 있다. 그 습성을 잘 살려
이용
한 것이 바로 플라밍고쇼지만 동물애호라는 입장에서 보면 그렇게 바람직한 일은 아니다.그러면 과연 홍학이 음률을 식별하는 지능을 갖고 있을까? 또 음률에 맞춰 율동을 하는 능력이 있는 것일까?모든 동물은 ... ...
개방형 컴퓨터통신 컴퓨터간 장벽을 허물다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응용계층 : 보통의 적용업무에서 필요한 자원
이용
기능(예로써 파일전송 데이터베이스
이용
등)과 컴퓨터네트워크 운영제어에 필요한 네트워크 관리기능(개방시스템이나 물리매체 등에 대한 장애관리 구성관리 등)을 제공해준다. 이 계층은 가장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가장 다양한 기능을 ... ...
연구활동에 컴퓨터는 필수도구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과학은 흔히 이론과 실습의 상호대화라고 표현된다. 그러나 최근 진리를 찾는 새로운 방식 즉 컴퓨터시뮬레이션이 또다른 영역으로 떠오 ... 발견하기 위해서도 과학자들은 컴퓨터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과학연구에서의 컴퓨터의
이용
은 과학을 보다 폭넓고 자유로우며 복잡하게 만들었다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윤리의식에 둔감한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과학기술의 개발과
이용
체계의 이중성(二重性)이 강할수록, 그리고 거대과학의 규모가 클수록, 과학기술자의 윤리의식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한국의 과학기술자들은 바로 그런 구조 속에 안주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학교교육은 ... ...
이전
1395
1396
1397
1398
1399
1400
1401
1402
1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