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스페셜
"
부분
"(으)로 총 1,932건 검색되었습니다.
AI가 기계 고장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선경호 한국기계연구원 기계시스템안전연구본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AI가 운전 중인 기계설비 영상을 기반으로 기계의 고장여부를 알아내는 기술을 개발 ... 수 없다. 머신 비전으로 두 영상을 비교하면 아래 그림처럼 진동이 강하게 나타나는
부분
의 색이 바뀌어 표시된다. 기계연 제공 ... ...
사람 닮은 로봇을 보면 공포심 생기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달달한 밀크쉐이크를 먹을 때처럼 감각적인 자극을 느낄 때 등 여러 자극에 대해 이
부분
이 반응한다. 하나는 사람의 얼굴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영역이다. 이 영역은 실험 참가자가 바라본 사물이 사람과 닮을수록 활성화 정도가 강했다. 다른 하나는 뇌가 호감도를 느끼는 영역이다. 산업용 ... ...
영장류 중 사람만 비만이 많은 이유는…두뇌 활동 탓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그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방아쇠 역할을 하는 프로모터, 증폭기 역할을 하는 인핸서
부분
의 염색질 접근성이 떨어졌다. 사람은 체지방 비율, 특히 백색지방의 양이 많은데다 지방을 태우는 물질대사 능력마저 유전적으로 떨어지는 탓에 비만이 될 확률이 높다는 뜻이다. 연구를 이끈 그레그 레이 ... ...
포수 없는 K9자주포, 박격포 나르는 견마로봇…軍에 부는 무인화 바람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비용보다 적은 비용으로 전력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팀장은 군이 보급
부분
을 주력으로 자동화하는 방안과 현재 운용중인 장비를 자동화하는 방향을 고려할 것을 주문했다. 김 팀장은 “전투에도 자동화가 필요하지만 보급에도 많은 인력이 들어간다”며 “효율적인 전투를 위해 ... ...
젊은 공학자 집념으로 장애인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들이 사용할 외골격로봇으로 경쟁하지만 실제로는 하반신
부분
마비 장애인들이 훨씬 많다는 현실을 감안한 노력이다. 공 교수는 “많은 사람들에게 기술의 혜택을 주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고 이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엔젤슈트’를 개발했다”며 “현재 상용화 ... ...
목소리만 듣고 제스처 따라하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제스처 AI로 미국 TV 토크쇼 진행자인 코난 오브라이언의 제스처를 예측한 결과. 상당
부분
코난이 취하는 포즈와 움직임을 AI가 흉내 냈다. UC 버클리 제공 ... ...
[이정아의 닥터스]“北도 당뇨병은 사회문제, 남북 윈윈모델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어쩌면 북한에서 당뇨병을 대응하는 방법은 선진국에서 놓치고 있는
부분
이기도 하다. 대
부분
서방 국가에서는 당뇨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집중하고 있지만, 북한이나 쿠바처럼 사회주의 국가는 이보다는 예방하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입원환자 병상이 150개나 될 정도로 규모가 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나타내는 지표로 쓰일 수 있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런 연구들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대
부분
상관관계가 그렇게 크지 않다고 한다. 다음으로 손가락 비율이 대신하는 특성이 굉장히 많다는 것도 좀 당황스럽다. 성적 취향은 그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손가락 비율이 작을 때는 전립선암에 걸릴 ... ...
베이조스 "10년내 사람처럼 물건 움켜쥐는 로봇 나올 것"
연합뉴스
l
2019.06.08
은 엄청나게 어려운 문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건 쥐기를
부분
적으로 머신 비전을 이용해 해결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물건을 쥐는 로봇보다 머신 비전이 먼저 나올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베이조스는 그러나 아마존이 이런 기술을 언제, 어떻게 적용할지 등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25번째 태양 주기가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2
흑점 극대기인 2014년 10월 22일에 찍은 영상이다. 태양 한 가운데 폭발하듯 하얗게 빛나는
부분
이 지난 20년 사이 가장 크게 관측됐던 흑점이다. 태양은 11년 주기로 흑점의 수가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는데, 올해 말 다시 이 주기가 시작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한다. 사이언스는 이날 특집 기사를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