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동
촉발
조장
자극
격려
고무
유인
뉴스
"
유발
"(으)로 총 3,463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난치병 원인 '단백질 수명' 결정하는 신호를 탐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사실을 밝혔다. 또 2014년에는 아세틸화 되지 않은 N-말단 아미노 그룹이 단백질 분해를
유발
할 수 있다는 사실을알아냈다. 이듬해인 2015년에는 포유류 세포에서의 N-말단 아세틸화에 의한 혈압조절 단백질 분해과정을 최초로 확인하는 등 연이은 성과를 냈다. 김상윤 포스텍 생명과학과 ... ...
코로나19 델타 변이 국내서도 비중 커지고 있다…"신규 확진자 100명 중 7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변이 감염자'라는 분석도 이 같은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사회 확산을
유발
할 수 있는 국내 발생 사례만 보자면 지난달 기준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주요 변이 4종 검출률은 35.7%에 이른다. 이 중 인도에서 유래한 델타 변이 점유율은 4.5% 정도다. 해외유입에서 확인되는 델타 변이 ... ...
세포를 색칠해 최초의 암세포 골라낸다
과학동아
l
2021.07.06
과정으로 장 조직의 종양
유발
가능성은 증가하고, 암으로 이어질 확률도 높아진다. 암을
유발
하는 돌연변이가 아주 이른 시기부터 주변 정상세포가 살아가는 것을 방해한다는 셈이다. 구본경 IMBA 그룹리더는 “암과 관련된 돌연변이가 이미 정상조직에 존재한다는 무서운 사실은 이미 알려져 ... ...
세 번째 mRNA 코로나19 백신 큐어백 끝내 '낙제점'
동아사이언스
l
2021.07.01
사례는 3%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변이바이러스 감염자로 변이바이러스가 큐어백 백신이
유발
한 면역을 회피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이 임상을 진행할 당시에는 변이바이러스가 우세종으로 대두된 시기는 아니었다. 그러나 화이자 백신이 알파 변이(영국 변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전이인자(transposable element)라는 이동성 염기서열이 체세포 변이를
유발
해 구연산 합성과 운송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쳐 과일 산도에 편차가 나타났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구연산은 오렌지 과육에 있는 유기산의 90%를 차지한다. 체세포 변이는 과일의 산도 뿐 ... ...
몸 속에서 녹는 심장박동 조율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9
이 배터리는 저분자 물질이어서 몸 안에서 서서히 용해된다. 임상시험에서 부작용을
유발
하지 않는다는 안전성도 검증을 받았다. 이 기술을 임시형 조율기에도 접목했다. 임시형 조율기의 두께는 250 미크론(μ∙100만분의 1미터), 무게가 0.5g 정도로 아주 얇고 가볍다.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을 ... ...
델타 코로나 변이 예방 효과 화이자 88% 아스트라제네카 60%
동아사이언스
l
2021.06.29
함께 질병 중증도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변이보다 더 심각한 증상을
유발
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CDC와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는 “백신 접종이 또다른 변이를 일으키거나 더 심각한 변이를 만들어낼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 ...
‘세포는 계획이 다 있구나’…자가포식으로 치매
유발
타우 단백질 분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6.27
경유해 분해되는 과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연구진은 타우 단백질로 치매를
유발
한 초파리와 쥐 모델에서 mRNA 유전자를 조작해 ‘UBE4B’라는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면 타우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이 감소하고 치매에 의한 행동도 개선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곧 UBE4B 단백질 ... ...
[표지로 읽는 과학] 철새 몸속 ‘살아있는 나침반’
동아사이언스
l
2021.06.26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 크립토크롬에서 자기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양자 효과를
유발
하는 광 기반 화학반응이 일어난다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진은 또 유럽 울새의 크립토크롬 분자가 닭이나 비둘기처럼 이주하지 않는 조류에서 발견되는 것보다 자기장 민감도가 훨씬 크다는 사실을 ... ...
2만 년 전 한반도에는 이미 코로나 감염병 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5
‘커런트 바이올로지’ 24일자에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코로나바이러스가 그동안
유발
한 세 차례 대규모 감염병들이 아시아에서 시작한 것에 주목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8000명 이상을 감염시키고 8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은 2002년 중국에서 시작됐다. 2012년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