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1년 생존 어려운 ‘미분화 갑상선암’ 새 치료 전략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왼쪽부터 황성순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교수, 김석모 강남세브란스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 교수, 윤혁준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제공. 생존율이 낮은 ‘미 ... 요인이므로 이를 제어하는 후속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
세포
사멸 & 질환’에 발표됐다 ... ...
살아있는 동물서 '시냅스' 변화 실시간 관찰 성공…뇌질환 원인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구별할 수 있었다. 또 빛으로 분자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광유전학 기술을 융합해 신경
세포
의 특정 기능을 빛으로 조절했고 시냅스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했다. 존스홉킨스대 연구팀과는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생쥐에게 시각적 구별 훈련, 운동 및 마취 등 여러 상황을 유도하고 각 ... ...
"혈뇌장벽 잠시 열고 치매약 투여하면 효과 크다"
연합뉴스
l
2024.01.08
치매 치료제로 승인받은 아두카누맙은 치매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뇌 신경
세포
의 비정상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 응집(플라크)을 감소시키는 단클론 항체로 한 달에 한 번씩 정맥으로 투여되는 주사제이다. 아두카누맙의 투여 정량은 10mg/kg이지만 만약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연구팀은 ... ...
전이성 유방암 '항암제 내성' 생기는 원인·치료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보인다. 연구팀이 CDK4/6 억제제 치료에서 내성이 발생한 암
세포
주와 발생하지 않은 암
세포
주를 mRNA 마이크로어레이로 비교 분석한 결과, PEG10 유전자의 발현 유무가 가장 큰 차이라는 점이 확인됐다. PEG10 유전자 때문에 CDK4/6 억제제에 내성이 생긴다는 것. CDK4/6 억제제 ‘입랜스’에 내성을 ... ...
공황장애 유발 핵심 뇌 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공황장애가 나타날 때 해당 신경
세포
가 활성화된다는 점을 발견했다. 공황장애로 이 신경
세포
가 활성화되면 PACAP가 발현된다는 연관성을 확인했다. PACAP 뇌 회로를 발견한 것은 공황장애 지도 완성을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는 게 연구팀의 평가다. 한성 교수는 “공황장애가 어디서 시작되는지 ... ...
난치 유전질환 유전자가위 치료 시대 열렸는데...국내선 임상 시도도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목표는 희귀질환으로 분류되는 선천성 망막질환(IRD) 치료제 개발이다. 선천적으로 망막
세포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시력이나 빛에 대한 감각 등 다양한 시각 장애를 일으키는 선천성 망막질환은 환자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지만 근본적인 치료전략이 없이 아직 완치제가 없다. 김정훈 교수가 ... ...
[주말N수학] 반려견은 사람 나이로 몇 살일까
수학동아
l
2024.01.06
아데닌(A)에 메틸기(-CH3)가 붙는 현상이다. 메틸화된 사이토신은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해
세포
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DNA 메틸화가 중요한 이유는 생물의 노화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2013년 미국 수학자 스티븐 호바스는 DNA 메틸화 정도와 노화 사이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 ...
뇌 전이 암 발병 원리 3D 프린팅 뇌혈관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굽은 각도가 클수록 더 많은 암
세포
가 혈관 내벽에 부착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암
세포
와 뇌혈관 조직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른 전이암 발달 메커니즘을 분자 수준에서 관찰했고 뇌혈관 모델을 바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도 진행했다. 혈관의 굽은 각도가 혈류 유속, 혈관 전단응력 변화 ... ...
모계 유전 미토콘드리아 유전질환 치료길 열리나…동물모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사례가 있지만 TALED를 활용한 성공 사례는 지금까지 없었다. 연구팀은 기존의 TALED가
세포
내에서 의도하지 않은 무작위적 DNA 및 RNA 변형을 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TALED가 생쥐의 수정란에 주입되면 배아 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TALED ... ...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와의 전쟁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사슬처럼 결합한 형태인 펩타이드를 활용한다. '조수라발핀'이란 이름의 이 펩타이드는
세포
의 외막에서 항생제의 침투를 방해하는 지질다당류(LPS)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원활한 항균작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실험 결과 CRAB에 감염된 동시에 폐렴을 앓고 있는 쥐에게서 폐렴균 수치가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