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출
배설
분비물
배설물
걸러내기
스며나옴
뉴스
"
분비
"(으)로 총 1,518건 검색되었습니다.
돼지 췌도를 원숭이에 이식… 당뇨병 치료법 청신호
2014.10.01
합병증이 나타나는 경우에 이 췌도 이식이 쓰인다. 췌도 이식은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
하는 췌도 세포를 분리하여 이식하는 방법으로, 췌장 전체를 이식하는 것에 비해 시술이 쉽고 안전하며 반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충분한 수의 췌장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 그동안 췌도 이식에 ... ...
'더도말고 덜도말고' 추석처럼 폭식하다가는
동아사이언스
l
2014.09.06
먹는 양이 계속해서 늘어날 수 밖에 없다”며 “렙틴 호르몬은 식사 후 10분이 지나야
분비
되는 만큼 폭식의 버릇이 있는 사람일수록 평소에 식사를 천천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다른 메뚜기가 보이고 메뚜기의 체취(페로몬)가 느껴지면 가슴신경절에 있는 세로토닌
분비
세포가 활성화된다는 것. 그 결과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 형태와 행동이 바뀐다. 즉 이집트땅메뚜기의 경우 평소 홀로 살 때는 천적의 눈에 잘 안 띄게 주변 환경과 비슷한 녹색계열인 반면 떼를 이루는 걸 ... ...
흉터도 만들고 암도 전이시키는 이것은?
2014.08.31
그동안 세포 밖에서 발견된 적은 없었다. VLK 단백질은 세포(하늘색 원) 밖으로
분비
돼 세포 밖 단백질의 티로신 인산화를 조절한다. - 셀 제공 연구팀은 사람과 쥐의 혈소판에 있는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이 효소의 정체가 다름 아닌 ‘VLK’ 단백질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VLK 단백질은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항균제 같은 화학물질이 생식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했다. 즉 이 물질들이 내
분비
교란물질(환경호르몬)로 작용해 호르몬 신호 시스템을 엉망으로 만드는 과정을 규명하는 일이다. 예를 들어 임신한 쥐에 화합물을 주입한 뒤 태어난 수컷새끼는 대부부분 고환이 비정상이고 정자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부모의 생활습관 아기에게 고스란히 ‘유전’
2014.08.17
아기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다. 이밖에도 아기가 태어나면 엄마와 아빠의 호르몬
분비
는 어떤 변화를 겪는지, 아기가 울 때 엄마 뇌는 어떻게 반응하는지 등 이번 주 사이언스에는 육아를 ‘스페셜 이슈’로 다뤄 이에 대한 여러 내용이 실렸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에는 ... ...
식물끼리 대화, 어떻게 하나 봤더니
2014.08.15
가령 한 식물이 곤충의 공격을 받으면 ‘푸른잎성분’이라는 휘발성 물질을
분비
해 동료 식물에게 위험을 알리는 식이다. 최근 한국인 과학자 김건준 씨가 논문 1저자로 참여한 미국 버지니아공대 연구진은 식물이 사용하는 언어로 화학물질 외에 또 다른 종류가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 과학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먹었을 때 더 높았다. 즉 장기적으로 가짜 설탕에 노출될 경우에는 정상 쥐도 도파민
분비
가 떨어지면서 덜 찾게 된다는 것. 그러나 이런 결과는 다른 식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즉 인공감미료는 설탕보다 맛이 떨어지기 때문에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 실제로 사카린은 단맛뿐 아니라 ... ...
평생 후유증 남는다던 ‘뇌졸중’ 줄기세포로 고쳤다
2014.08.11
손상된 뇌혈관 생성을 도왔으며, 그 결과 새로운 뇌조직 생성을 유도하는 화학물질의
분비
역시 유도해 뇌세포 회복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은 앞으로 CD34+로 만들어내는 뇌 속 화학물질을 추가로 발견하고, 이를 치료제 형태로 개발할 계획이다. 뇌경색 진단을 받은 환자가 ... ...
뚱뚱해도 당뇨 안 생기는 곰, 왜?
과학동아
l
2014.08.06
Kevin Corbit 제공 제2형 당뇨는 인슐린이 나오더라도 혈당을 효과적으로 낮추지 못해 생기는 질환이다. 이때 인슐린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 지방세포다. 따라서 비만인 사람은 제2형 당뇨에 걸리기 쉽다. 반면 뚱뚱해도 당뇨를 앓지 않는 동물이 있다. 메리 오릴리 미국 워싱턴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