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뉴스
"
물리학
"(으)로 총 2,185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해저지명소위원회 위원장에 한현철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한 연구원은 2006년 한국인 최초로 SCUFN 위원으로 선출된 이후 지금까지 해양지질, 지구
물리학
적 연구 지식과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동해 ‘울릉협곡’과 같은 57개 우리말 해저지명을 국제지명으로 등재하는 등 꾸준한 국제 활동으로 전문성과 성과를 인정받았다. 한국수로학회 부회장, ...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
2018.11.18
측정하면 구 안에 들어있는 전체 실리콘 원자의 수를 알 수 있다. 원자 수가 결정되면
물리학
방정식으로 플랑크 상수를 구할 수 있다. 키블저울에서 구한 플랑크 상수와 아보가드로수를 이용해 구한 플랑크 상수 값이 같다면 두 측정 결과가 같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확인된 아보가드로 수는 ... ...
53개국이 찬성했다 “도량형 바꾸자”
2018.11.16
16일 오후 1시 30분(현지 시각)까지 진행된 찬반 투표에서 4개 기본 단위를 변하지 않는
물리학
상수를 사용한 새로운 기준으로 재정의하기로 만장일치로 합의했다. 이로써 질량의 단위인 킬로그램(kg)과 전류 단위 암페어(A), 온도를 측정하는 과학적 단위인 ‘켈빈(K)’과 물질의 양을 재는 단위인 ... ...
소니 아이보 울릴 로봇 고양이 한 마리 키워볼까?
2018.11.16
있습니다. 펫토이 개발팀은 핵스터를 통해 “아이들이 새로운 유형의 장난감으로
물리학
과 코딩을 배울 수 있으며, 로봇 전문가들은 훨씬 저렴한 플랫폼에서 보행 알고리즘에 집중할 수 있다”며, “궁극적으로 고양이의 모습을 한 스마트폰 또는 확장 가능한 앱 스토어를 갖고 있는 알렉사를 ... ...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새로운 별 생성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국내에서 개발한 적외선우주망원경 다목적적외선 영상시스템(MIRIS)를 통해 얻은 우리은하면 내 별 생성 영역의 모습 중 하나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 별 생성과 진화 과정을 연구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10월 5일 국제 학술지인 ‘천체
물리학
저널 증보’에 게재됐다. ... ...
'오무아무아’에 대한 하버드대 과학자들의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더 빨라진 오무아무아가 외계 생명체가 보낸 물체라는 분석 결과를 국제학술지 ‘천체
물리학
저널 레터스’ 5일(현지 시간)자에 발표했다. 오무아무아가 던진 의문점에 대한 하버드대 연구진의 해석을 정리했다. ▲태양 근처에서 오무아무아처럼 속도가 빨라지는 천체는 없나. =혜성이 그렇다.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들어 봤습니다. Q 자기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저는 영국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물리학
과의 고분자 전자공학 센터에서 연구하는 제스 웨이드 박사예요. 저는 이곳에서 유기화합물을 이용해 빛을 내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개발하고 있답니다. Q 위키피디아에 여성 과학자에 대한 ... ...
암세포 전이 과정-우주진화 연구…계산과학 새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5호기를 활용해 세계 최대 규모의 우주 진화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계획이다.
물리학
법칙을 적용해 2조 개 이상의 입자를 이용해 138억 년 전 빅뱅 직후부터 우주를 시간에 따라 진화시키는 것이다. 김주한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연구교수는 “입자 수가 많을수록 더 넓은 시야로 우주를 볼 수 있고, ... ...
울산과기원 1호 명예박사에 파와즈 하발 하버드대 공대 학장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폴라로이드’ 연구개발 총괄 부사장을 지냈다. 2003년 하버드대 교수로 부임해 공학 및
물리학
부문 부학장, 하버드대 공대 행정학장 및 공학 대학원 소장을 거쳤다. 2011년부터 공대 학장을 맡고 있다. 현재까지 64편의 연구논문과 21편의 컨퍼런스 논문, 36편의 초대논문을 저술했으며 11개의 특허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씨앗에 예술적 불멸성을 부여했다면 최근 영국의 과학자들은 민들레 씨앗을 연구해
물리학
의 한 분야인 유체역학의 역사에 남을 발견을 했다. 영국 에딘버러대 과학자들은 민들레 씨앗이 꽃대를 떠나 ‘강바람 타고 훨훨’ 날아갈 수 있는 유체역학적 메커니즘을 밝혀낸 것이다. 식물은 씨앗을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