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5,86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당신은 가장 좋은 내가 될 수 있게 끌어주는 사람입니다
2022.05.21
깎아내리면 정말 점점 더 못 하게 되는, 주위의 피드백과 시선에 큰 영향을 받는
동물
이다. 예쁘고 잘 생겼으니까 성격도 좋을 거라고 좋게 봐주고 칭찬 해주고 먼저 친절하게 대해주는 주변의 긍정적인 피드백이 매력적인 사람들로 하여금 주변 사람들을 신뢰하고 쉽게 마음을 열고 잘 다가가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두 번이나 노벨상을 받은 과학영웅의 몰락
2022.05.19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
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 ...
고양이 가면을 쓴
동물
의 정체는
팝뉴스
l
2022.05.19
그런데 사진 속
동물
의 정체는 무엇일까? 많은 네티즌들은 “고양이 가면을 쓴
동물
”이라고 부른다. 얼굴은 평범한 고양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른 설명이 나와서 네티즌들의 동의를 얻고 있다. 흔한 고양이이고 얼굴 부분만 털을 깎지 않았을 뿐이라는 설명이다. ※ 편집자주 ... ...
[과기원은 지금] 난치성 통증 AI 협력연구 MOU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5.19
실험용 쥐 같은 작은
동물
에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었으나 고양이와 같은 중간 크기
동물
생체영상 촬영에 적용할 수 있다. 국제학술지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산업전자학술지’에 지난달 29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김봉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 ...
라오스 동굴에서 13만 년 전 데니소바인 소녀 치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심하게 훼손돼 분석이 어려웠다. 대신 어금니가 발견된 주변 퇴적물과 함게 발견된
동물
화석을 분석해 16만4000~13만1000년 전 것으로 추정했다. 라오스 동굴에서 발견된 고대 인류의 어금니가 데니소바인의 것으로 추정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제공 3차원 X선 분석을 ... ...
귀여운 반려
동물
, 초대형 달팽이
팝뉴스
l
2022.05.16
하는데 크고 징그럽다는 반응이 적지 않다. 반면 사랑스럽고 개성 넘치는 반려
동물
이라는 평가도 없지 않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 ...
자기장으로 뇌 속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 단백질 분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6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기술”이라며 “향후 알츠하이머 형질변환 마우스 등을 이용한
동물
실험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지난 13일 공개됐다. ... ...
가족 모두 코로나 걸렸는데 나만 멀쩡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5.16
분석된다. ● 그들에겐 특별한 '면역세포'가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
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 계통이다. 2003년 유행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과 2012년 유행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도 코로나바이러스 계열의 바이러스다. 코로나바이러스 중 인간에게 ... ...
반려 게를 산책시키는 남자
팝뉴스
l
2022.05.14
제공 반려
동물
일까. 아니면 양식을 하는
동물
일까. 아무튼 게가 커다랗고 사람과 가까워 보인다. 한 남자가 커다란 게를 데리고 도심 산책 나왔는데, 해외 네티즌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이 남자의 정확한 정체나 게와의 관계 등은 밝혀지지 않았다. 해외 네티즌들은 남자가 ... ...
23년 얼린 쥐 고환, 이식했더니 정자 생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미리 떼어내 냉동 시킨 후 노년기 때 다시금 이식하는 치료법이 시도되고 있다. 원숭이
동물
실험에서 이미 가능성을 확인했다. 하지만 사춘기 이전에 소아암을 겪으면 고환을 10년 이상 냉동 시킬 확률이 높다. 10년 이상 고환을 냉동 시킨 후 이식해도 여전히 정자를 생산할 수 있는지는 연구된 바가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